법정 싸움 2연승으로 승리한 삼성…이대로 승리?
법정 싸움 2연승으로 승리한 삼성…이대로 승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국계투자자 의결권 관건 되나?
▲ 삼성물산과 엘리엇 매니지먼트(엘리엇) 간 ‘자사주 매각금지’ 가처분 소송이 삼성물산의 승리로 돌아가 삼성은 법정 싸움 2연승으로 승기를 잡았다. 하지만 외국계 투자자의 표심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태라 어느 쪽이 승리 할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삼성물산과 엘리엇 매니지먼트(엘리엇) 간 ‘자사주 매각금지’ 가처분 소송이 삼성물산의 승리로 돌아갔다. 이에따라 삼성은 법정 싸움 2연승으로 승기를 잡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김용대 부장판사)는 엘리엇이 삼성물산과 KCC를 상대로 낸 ‘삼성물산 자사주 매각금지’ 가처분을 기각했다고 밝혔다.

법원은 삼성물산의 KCC에 대한 자사주 매각이 사회 통념상 불공정하거나 사회질서에 반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결정했다.

이번 가처분 결과는 국민연금의 찬반 여부와 함께 17일 있을 표 대결의 핵심 변수로 꼽혀온 만큼 향후 판세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만약 이번 가처분이 받아들여졌다면 KCC에 매각된 5.76%에 해당하는 의결권이 사라지기 때문에 삼성입장에선 아찔한 상황을 모면한 셈이다.

반면 합병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는 쪽은 엘리엇(7.12%)을 비롯해 일성신약(3.27%), 네덜란드연기금(0.3%) 등으로 총 10.69%다. 여기에 현재까지 엘리엇 쪽에 표를 위임하겠다는 뜻을 밝힌 소액주주 지분 약 1%를 합치면 반대 지분은 12%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엘리엇을 제외한 외국계 투자자의 지분은 26.5%, 국민연금을 제외한 국내 기관 투자자의 지분은 11% 정도로 파악된다.

국내 기관 투자자들은 삼성 쪽 손을 들 가능성이 높은것으로 관측된다. 삼성과의 관계나 투자자 수익률을 감안하면 합병에 반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0.5%의 지분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신영자산운용은 공개적으로 찬성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

반면 외국계 투자자들은 상당수가 엘리엇 쪽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세계 1·2위 글로벌 의결권 전문기관인 글라스루이스와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가 잇따라 ‘합병 반대’ 의견을 낸 것이 외국계투자자들을 의결권 행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다만 외국계 투자자의 표심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2.2%를 보유한 메이슨이 엘리엇과 비슷한 행동주의 펀드라는 점에서 합병 반대표를 행사할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명확한 입장을 밝힌 적은 없다.

삼성 측도 골드만삭스와 크레디트스위스(CS)를 합병 자문사로 선정하며 외국인 투자자 설득에 나서고 있어 외국계 투자자의 표심에 대해 아직 예측할 수 없다.

결국 삼성물산 1대 주주로 10.15%의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입장이다. [시사포커스 / 남태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