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북한이 최근에는 대화와 협력의 의지를 조금이나마 비치고 있다”고 평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통일의 꿈! 이제 현실로 이루어 가겠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열린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민간위원들과 집중토론회에서 “지난해 정부는 남북한 실질적 협력의 통로를 열기 위해 다양한 구상을 마련했지만 아직 북한은 호응하지 않고 있다. 북한이 대결적 발언을 반복하면서 민간교류를 많이 중단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남북한이 함께 보건의료 협력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 주변국들과 질병대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보건의료 인력을 양성해 나간다면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동북아를 만드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면서 “세계적으로 전염병과 질병으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면서 국제기구는 물론 이웃국가간 보건의료 협력도 강화되고 있는데 남북한도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지키는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남북한 모두는 한반도를 건강하게 지켜나가야 할 공동의 책임과 의무가 있다”며 “한민족의 긴 역사에서 볼 때 지금은 분단으로 남북이 나뉘어 있지만, 우리 민족은 하나의 땅에서 함께 살아왔다”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또 “정부는 남북이 공유하는 하천에 대한 공동관리와 산림복원을 비롯한 환경협력을 통해 자연재해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모색해왔다”고 평하면서 “이제 남과 북은 기후변화를 비롯해 한반도를 위협하는 자연재난에 함께 대처하면서 공동의 노력을 펼쳐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는 항상 대화와 협력의 문은 열어놓고 있고 지금이라도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에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며 “더 늦기 전에 분단의 고통을 치유하고 평화통일의 기초를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최근 미국·쿠바의 국교정상화, 이란 핵문제 해결 등을 언급하면서 “변화와 협력이 국제사회의 큰 흐름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제 남은 것은 지구상 유일하게 남아있는 한반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는 것이고, 그 변화를 북한도 계속 외면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서신교환 ▲언어·문화 합치 및 민족역사 복원 위한 교류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경원선 복원 착공 및 나진·하산 물류사업 성공 등 기존의 대북정책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그간 제안된 민간의 참신하고 창의적인 통일 구상을 현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당초 이날 토론회는 지난달 5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인해 연기된 바 있다.
통준위는 이날 토론에서 북한의 변화와 협력 유도를 위해 ▲DMZ 세계생태평화공원과 금강산관광특구를 연계한 남북 광대역 관광 벨트 형성 방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를 활용해 나선지역을 역외가공지역으로 개발하는 방안 ▲ 북·중·러 접경지역에서 북한 인력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