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직원 공동성명, 민간인 사찰 의혹 반박
국정원 직원 공동성명, 민간인 사찰 의혹 반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2년 해킹 프로그램 구입 사실 외 추측성 의혹 뿐”
▲ 국정원 직원들은 자살한 동료 임모씨에 대한 애도를 표하는 한편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을 통한 민간인 사찰 의혹에는 반박하는 성명을 내놨다. 사진 / ⓒ뉴시스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19일 동료직원 임모씨의 자살에 애도를 표하며 유서 내용에 대한 해명과 더불어 해킹을 통한 민간인 사찰 의혹과 관련해 반박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국정원 직원들은 이날 오후 발표한 ‘동료 직원을 보내며’란 성명에서 “국정원은 7월 19일 참담하게도 동료 직원 한 사람을 잃었다”며 “국정원은 왜 그 직원이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지 묻고 또 묻고 있지만 그럴 필요가 전혀 없는데 왜 그랬는지 아직도 답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국정원 직원들은 “그는 2012년도 문제의 해킹 프로그램 구매를 실무판단하고 주도한 사이버 전문 기술직원이었다”며 “이 직원은 본인이 실무자로서 도입한 프로그램이 민간인 사찰용으로 사용됐다는 정치권과 일부 언론의 무차별적 매도에 분노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유서 대목에서 국정원 직원 일동은 고인의 국정원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감지하고 애통해 하고 있다. 국정원의 공작내용이 노출될 것을 걱정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그래서 자의대로 이를 삭제하고 그 책임을 자기가 안고 가겠다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현재 그가 무엇을 삭제했는지 복구 작업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정원 직원들은 임모씨의 자살에 대해 “순수하고 유능한 사이버 기술자였던 그가 졸지에 우리 국민을 사찰한 감시자로 내몰린 상황을 심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 직원은 유서에서 ‘정말 내국인에 대한, 선거에 대한 사찰은 전혀 없었다’고 분명히 밝혔다. 고인의 죽음으로 증언한 이 유서 내용은 글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야당에 대해 “그의 죽음을 정치적 공세를 이어가는 소재로 삼는 개탄스러운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며 “북한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엄혹한 현실을 도외시하고 외교적 부작용이 발생해도, 국정원이 약화돼도 상관없다는 위험하고 무책임한 발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국정원 직원들은 해킹프로그램을 이용한 민간인 사찰 의혹에 대해서도 “이탈리아 해킹팀 회사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35개국 97개 기관이 구매했지만 이들 기관은 모두 노코멘트 한마디로 대응하고 이런 대응이 아무런 논란 없이 받아들여졌다”며 “자국의 정보기관을 나쁜 기관으로 매도하기 위해 매일 근거 없는 의혹을 경쟁적으로 쏟아내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이어 “드러난 사실은 댓글 사건이 있었던 해인 2012년 국정원이 이를 구매했다는 사실밖에 없고 나머지는 모두 그럴 것이라는 추측성 의혹 뿐”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국정원 직원들은 “국정원은 이미 우리 국민에 대한 사찰이 없었음을 분명히 했고 정보위원님들의 현장 방문을 수용했다”며 “국정원은 정보위원들의 방문 시 필요한 기록을 공개함으로써 국정원이 민간인 사찰을 하지 않았음을 명백히 밝힐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