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국정원 해킹 시도 관련 공방
與野 국정원 해킹 시도 관련 공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與“한국IP, 국내 좀비PC 때문”-野“그대로 믿을 국민 없어”
▲ 여야는 국정원의 해킹 의혹 관련해 국내 IP가 다수 발견됐다는 야당의 주장을 두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여야는 19일 야당이 제기했던 국정원이 국내 인터넷 IP를 해킹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날선 공방을 벌였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KT, 서울대, 한국방송공사, 다음카카오 등 IP가 등장하는 것은 해커의 ‘해킹팀’ 공격에 우리나라에 있는 좀비 컴퓨터(PC)가 사용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유출된 로그파일은 디도스 공격 등 외부 해킹시도를 차단하는 데 활용한 방화벽 로그로 추정된다는 국정원의 보고를 받았다. 디도스 공격을 위해 같은 시간에 우리나라 IP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IP에 동시 접속이 이뤄졌으며 4만4718건이 시도됐는데 전형적인 디도스 공격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그런데도 야당은 해킹으로 유출된 이탈리아 해킹사의 자료에 한국 할당 IP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대규모 민간사찰을 기정사실로 해 의혹을 확대·재생산하고 있다”며 “방화벽 전문가가 안철수 의원이다. 안 의원에게 물어보고 검증하면 되는데 검증도 안 하고 의혹만 부풀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 의원은 국정원 직원 임 모씨의 자살 관련해선 “이분(임씨)이 해킹 프로그램을 도입할 때부터 RCS(Remote Control System)를 운영할 때까지 그 팀의 실무자였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정치적 논란이 되니까 여러 가지 압박감을 느껴 (자살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정열을 바쳐 일하는 국가 직원들이 정치에 휘말려 압박을 받아서 세상을 달리 하는 일이 다신 없도록 마음 놓고 국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어야 한다”고 야당을 에둘러 비판했다.

이 의원은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구입 관련해 국정원 직원 임 모씨가 자살 전 삭제한 파일에 대해 “국정원에서 디지털 포렌식을 통해 100% 복구가 가능하다고 했다”며 “대테러, 대북 공작용 내용이 밝혀지면 큰 물의를 일으킬까 싶어 (임씨가) 삭제하지 않았겠느냐”고 해명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오후 서면브리핑에서 “국정원은 대북용· 연구개발용으로 해킹프로그램을 샀고, 내국인과 선거에 대한 사찰은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를 그대로 믿는 국민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대변인은 이어 “국정원은 로그정보 등 기초자료 현출에 충실해야 한다”며 “국정원은 이탈리아 업체의 의뢰인으로서 필요할 경우 해당업체가 이번 사건과 관련된 자료들을 제출할 수 있도록 취할 수 있는 조치를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국정원 현장방문 관련,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한 후 현장방문을 해도 늦지 않다”며 “국정원 직원 임 모씨의 유서에서도 나타났듯 이미 이번 사건과 관련된 디지털 증거들이 깨끗이 삭제된 상태라면 현장을 방문해 본 들 어떤 의미가 있을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아울러 이 대변인은 국정원 직원의 죽음에 대해 “임 모씨의 죽음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면서도 “왜 이 직원이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국민적 의혹도 커지고 있다. 이 부분도 밝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