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이 추가경정예산(추경) 처리와 관련, 24일 전 처리 방침을 재차 확인했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상임위원장·간사단회의에서 “추경안을 제출한 지 보름이 넘었다”며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주에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추경안 처리가) 마무리 돼야 한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어 “오늘 오후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와 2+2회담이 있다”며 “회동에서는 추경 처리 문제와 국정원 해킹 의혹에 대한 국회 차원의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원 원내대표는 또 “세월호 여파가 가시기도 전에 이어진 메르스 사태로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고, 골목상권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우려하면서 “우리나라는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 자영업을 살리기 위한 긴급처방이 시급하다”고 추경안의 조속한 처리를 재차 촉구하기도 했다.
동시에 야권을 향해 “메르스 사태를 통해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을 비롯한 민생경제의 긴급 수혈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2+2 회동에서 이 문제에 대해 야당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구하겠다”고 압박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27∼28일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금주내 처리를 촉구했다. 의사일정 작성 권한은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있다.,
김 정책위의장은 “의장은 누구보다 민생경제 위기와 추경처리의 시급성을 잘 알고 계시리라 본다”며 “추경안 심사가 마무리되면 바로 본회의에 처리될 수 있게 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통 큰 결단과 지도력을 부탁한다”고 재차 요구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정부가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한 지 오늘로 16일째로, 민생 현장에선 국회에서 추경안이 처리되길 학수고대하고 있다”며 “여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는 23~24일에 (처리)하기로 합의했고, 어제부터 소위원회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우리 새누리당은 여야 합의정신을 존중하며 늦어도 24일 예결위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국회법에 따르면 예결위 심사 종료 후 본회의에 부의하도록 돼있다"고도 강조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추경안 처리 시한을 이번주내로 설정하고 있지만 정의화 국회의장은 가이드라인으로 27∼28일을 제시한 바 있다.
정 의장은 전날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표단이 인사차 방문한 자리에서 “추경안 처리는 27~28일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며 “여야가 24일까지 하는 걸로 얘기 됐는지는 모르겠지만 7월 국회가 추경 때문에 하는 것인만큼 최선을 다하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