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 열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 열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 모두 완료
▲ 22일 물류에 초점을 맞춘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출범했다. ⓒ미래부

22일 물류에 초점을 맞춘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이 진했됐다.

인천 혁신센터(센터장 박인수)는 총 2293㎡(약 700평) 규모로 송도 미추홀타워(1316㎡)와 제물포스마트타운(977㎡)에 조성됐다.

미래창조과학부·인천시·한진그룹은 22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미추홀타워에서 최양희 미래부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조양호 한진그룹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했다.

인천센터는 ▲물류산업에 첨단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물류 신산업 육성 ▲중소․벤처기업의 수출물류 경쟁력 제고 ▲한·중 스타트업 교류협력 플랫폼 구축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혁신센터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대기업은 한진과 포스코다.

센터는 한진그룹·스파크랩·시스코 등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신생 벤처기업의 마케팅,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지원 업무도 수행한다.

이와 함께 대한항공의 항공엔진 정비기술과 연구기관의 역량을 모아 자동차 소재·부품 기업, 항공엔진 정비 기업의 기술 수준을 높이고 강소기업으로의 성장을 지원한다.

인천센터의 출범으로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도 모두 완료됐으며 이는 지난해 9월15일 대구 창조경제센터 확대 출범이후 310일 만이다. 17개 혁신센터는 지역의 수요와 전담기업의 전략 분야에 맞춰 지역 특화산업, 창업과 벤처·중소기업의 성장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C-랩(대구), 드림벤처스타(대전)는 창업분야 대표 브랜드 공모전으로 발전했다. 지역특성 및 전담기업의 사업분야와 연계된 센터별 특화산업 육성도 추진됐다. 소재(전북), 자동차(광주), K-뷰티(충북), 영화․유통(부산), 핀테크·게임(경기), 기계(경북․경남) 등이 대표 사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먼저 개소한 센터를 중심으로 창업, 중소기업 혁신지원 활동이 본격화되는 등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375개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 약 30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 신규채용 및 매출 기여도가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중소·벤처 수출 물류 기업의 경쟁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사업도 다각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정부는 지자체, 전담기업이 힘을 합쳐 혁신센터가 지역에서 성공스토리를 만들어 내고 확산시키는 거점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전국 17개 혁신센터와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