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이달 말 제4 이동통신 사업권 신청과 주파수할당에 대한 공고를 냄으로써 사업자 선정 절차를 본격화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이달 말에 제4 이통 사업 신청 공고와 주파수 할당 공고를 내기 위해 막바지 준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4이통 선정은 주파수와 로밍 등 역대 가장 좋은 조건인만큼, 선정 절차를 앞두고 준비 사업자들의 자본확보를 위한 물밑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미래부는 오는 10일까지 700㎒ 주파수 관련에 대한 국회와 논의를 끝낸 후 관보게재 절차 등을 거쳐 주파수 계획이 확실히 해 절차를 서두른다는 계획이다. 제4 이통사업자들이 LTE-주파수분할(FDD), 또는 LTE-시분할(TDD) 주파수 중 어느 한쪽으로 기술방식이 몰릴 경우, 기존 이동통신사업자에 대한 주파수 경매를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지난 6월 발표한 기본계획에 맞춰 제4 이통 사업자 선정 준비가 아무런 차질없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사업자 선정절차부터는 연 1회 신청 접수 방식으로 바뀌며 기존 이통사들이 활용하는 LTE-FDD 주파수 신청, 사업 시작 후 3년간 타 사업자의 망 임대, 차등 접속료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대거 내놨다.
제4 이통 준비사업자들은 건전한 자본으로 최소 1조~ 1조5000억 원 이상을 마련한다면 사업권을 획득하리라 보고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업계는 미래부가 지난 2010년부터 제4 이통 선정 절차를 6번 진행하며 세부 절차는 물론 ‘재무건전성’이라는 확고한 기준을 확립했다고 보고 서류 접수 전 마지막 자본 준비를 위해 합종연횡을 펼치고 있다.
이번 선정에 있어 제4 이통 컨소시엄들은 정보통신기술 업계 다양한 분야에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정보통신부 국장 출신 공종렬 대표가 이끄는 한국모바일인터넷(KMI)은 재도전 의사를 밝혔다. SK텔레콤 임원 출신인 장윤식 대표를 통해 중소상공인 연합을 내세운 우리텔레콤 역시 사업 전략을 짜고 있다. 이외에도 케이티넷 컨소시엄, 퀀텀모바일 등도 꾸준히 사업권을 위해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업계는 본격적인 사업자 신청 절차 시작 전에 준비사업자들끼리의 합종연횡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소프트뱅크 같은 해외 자본시장 뿐 만 아니라 국내 자본시장의 문을 꾸준히 두드리고 있다는 관측이다. 실제로 최근에는 삼양그룹에 대해서도 준비사업자들의 설득과 접촉 정황이 포착되었다. [시사포커스 / 김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