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그룹 형제의 난 여파가 확산됨에 따라 유통가 역시 긴장하고 있다.
5일 공정거래위원회는 롯데 측에 해외계열사의 주주 및 출자현황 등 경영 관련 내용의 일체를 요구하며 소유구조 파악에 주력을 다하고 있다. 공정위는 롯데 측에서 허위자료를 제출 할 경우 검찰에 고발한다는 계획이다.
신동주·동빈 형제간 시작된 롯데그룹 경영권 다툼은 현재 정부와 정치권이 개입하는 양상으로 번지면서 유통가에 일제 비상이 걸렸다. 롯데를 향하고 있는 세무조사 칼날이 자신들을 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세청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롯데 계열사인 대홍기획에 대한 세무조사와 롯데그룹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혀왔지만 최근 입장이 변하면서 롯데그룹의 계열사에서 대홍기획에 부당지원이나 일감몰아주기 등 실시했다는 정황이 드러날 경우 자칫 세무조사가 롯데그룹 전체로 번질 수도 있다.
국회에서도 롯데그룹에서 발생한 경영권 다툼이 재발하지 않도록 순환출자 금지 등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야 모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일부 의원들은 롯데 기업 구조상 우리나라에서 벌어들인 돈을 일본에 가져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을 하며 하반기에 있을 면세점 허가를 내주면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은 “이번 롯데그룹의 집안 싸움으로 국민들이 롯데 지배구조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며 “신씨 일가가 불과 2.4%의 지분으로 416개 계열사를 지배하는 것은 순환출자 때문인데, 정부 당국은 꼬리가 몸통 흔들 수 없도록 순환출자에 대해 분명한 기준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롯데의 경영권 분쟁에 대해 “재벌 가족간의 다툼이 볼썽사납다”며 “재벌 경제체제는 더이상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아니라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롯데그룹 형제의 난에 정부와 정치권이 공식적으로 개입하는 모양새를 띔에 따라 롯데 사태가 신세계와 현대 등 유통 경쟁업체로까지 번질 가능성이 있다. 국세청이 롯데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하다가 다른 재벌들에 대해서도 세무조사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도 롯데 발 형제의 난이 재벌개혁의 신호탄이 돼 내년 총선을 앞두고 각종 규제 법률이 쏟아져 나올 가능성이 있다.
이에 유통가에서는 벌써 정부와 정치권의 칼날에 대비하는 모양새다. 보도자료 등을 통해 정부 방침에 철저히 따르는 모습을 비추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세계와 현대 측의 지난 5일자 보도자료들은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에 적극 동참할 방침’, ‘정부 차원의 국민 사기진작 방안에 적극 동참키로 했다’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지난 5일 롯데가 형제의 난으로 내홍을 겪고 있는 사이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일각에서는 롯데 형제의 난으로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시사포커스 / 남태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