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석촌호수 수위저하의 원인은 제2롯데월드와 지하철9호선 공사 등 일대에서 발생한 대형공사들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는 지난 해 8월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석촌호수의 수위저하의 원인조사를 의뢰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석촌호수 수위저하의 원인은 제2롯데월드, 지하철 9호선, 그리고 주변 대형 건물 8곳의 신축공사 등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석촌호수의 수위저하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1년 10월부터 였다.
석촌호수의 연평균 수위는 2010년에 4.68m를 기록했지만, 2011년 11월부터 0.11m 줄어든 4.57m, 2013년에는 10월에는 0.40m 줄어든 4.17m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석촌호수 자체가 하루 평균 2천t의 물이 빠지는 특징이 있는데다 호수 주변에 지하수 유출을 촉진하는 대형 공사장들이 몰려 있어서 호수 수위의 급격한 저하 현상이 두드러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의 이런 주장대로 실제로 석촌호수의 수위는 2011년 10월부터 2012년 3월 초까지 진행된 제2롯데월드의 공사기간 동안 영향을 받다가 공사가 한 단계씩 완료됨에 따라 수위 변화가 줄어들었다. 수위저하 발생 기여율로 살펴보면 2012년 3월 72%였던 수치가 2013년 10월에는 그 절반인 36%로 줄어들었다.
이와는 반대로 지하철 9호선 공사 때의 기여율은 2012년 3월 25%였지만 2013년 3월에는 무려 그 2배가 넘는 53%를 기록했다.
서울시는 또한 지하수의 동위원소 분석 결과 제2롯데월드와 지하철 9호선에서 나온 유출수의 성분이 석촌호수의 물과 일부 유사하다는 것도 근거로 내세웠다.
이와는 별도로 석촌호수 수위저하 이후, 최근 호수 주변에서 발생한 싱크홀(도로함몰) 현상에 대해 서울시는 수위저하와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싱크홀 현상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결론지었다.
한국농어촌공사의 보고서에 의하면 수위저하로 인한 지반 침하량이 최대 8mm로 허용침하량인 25mm에 미치지 못해 그 영향이 미미하고, 지하수 이동 속도 역시 시간당 1.3cm~8.3cm으로 느려서 싱크홀의 가장 큰 원인인 토사 유출은 일으키기 어렵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수 관리 대책’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주요 계획으로는 ▲대형 공사장 유출지하수 신고 및 관리실태 조사를 위한 현장점검팀 운영 ▲하수도 조례 계정을 바꿔 유출지하수 신고기간을 기존의 30일 이내에서 즉시 신고로 전환 ▲ 대형 공사장의 지하수 계측자료 제출 의무화 등이 있다.
김준기 서울시 도시안전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석촌호수의 수위저하의 원인은 호수 주변의 대형공사장에서 발생한 지하수 유출이 원인으로 안전에는 이상이 없는 것이 확인됐다”며 “앞으로 대형 공사장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출 관리를 철저히 해 더 이상 시민들이 불안에 떠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민경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