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김무성 “롯데 사태 최대 피해자는 국민들”
[포커스]김무성 “롯데 사태 최대 피해자는 국민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연금, 롯데 계열사에 총 6.9% 투자…주주권 적극 행사 방안 검토해달라”
▲ 김무성 대표는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롯데그룹 사태로 인한 기업가치 하락을 언급하면서 “롯데그룹 사태의 최대 피해자는 신씨 일가가 아니라 국민연금에 노후자금을 맡긴 국민들”이라면서 “국민연금이 롯데 계열사에 총 6.9%가 투자돼 있는 모양이다. (이번 사태로) 롯데 계열사의 시가 총액 1조5000억원이 빠져나갔고 앞으로 얼마나 빠질지 모른다”고 말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7일 롯데그룹 총수일가의 경영권 분쟁 사태와 관련, 최대 피해자는 국민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롯데그룹 사태로 인한 기업가치 하락을 언급하면서 “롯데그룹 사태의 최대 피해자는 신씨 일가가 아니라 국민연금에 노후자금을 맡긴 국민들”이라면서 “국민연금이 롯데 계열사에 총 6.9%가 투자돼 있는 모양이다. (이번 사태로) 롯데 계열사의 시가 총액 1조5000억원이 빠져나갔고 앞으로 얼마나 빠질지 모른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국민연금은 국민 노후자금을 지켜낼 수 있도록 주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전날(6일) 대국민담화와 관련해선 “박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통해서 4대 구조개혁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경제 재도약을 위해 국민 여러분이 힘을 모아 달라고 간곡히 부탁했다”며 “당은 국민과 국가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경제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절박한 현실 인식에 뜻을 함께하면서 미래를 향한 행보에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번 담화에서 개혁의 첫번째로 언급한 노동개혁과 관련, 노동개혁 없이는 청년들의 절망도,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통도 해결이 없고 청년 일자리가 없다는 말씀에 절대적으로 공감한다"며 "지금과 같이 경직된 노동시장 구조와 연공에 따른 임금 체계로는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줄 수 없다. 청년 고용절벽을 해결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려면 각 경제 주체들의 양보와 고통 분담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동 개혁 없이는 청년들의 절망도,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통도 해결할 수 없다는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노동시장 선진화는 기성세대와 미래세대가 조화를 이룰 방안이고 국민을 위한 길을 가는데 최우선 선결 과제”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노동계를 향해 “대승적 결단을 내려서 화해와 타협의 장으로 복귀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으며 야당을 향해서는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정치권의 책무를 위해 노동시장 선진화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선거 및 공천 제도 개혁 방안과 관련, “그동안 수차례 강조했듯 정치 개혁의 요체는 공천 제도의 개혁이고 그 실행 방안은 국민공천제(오픈 프라이머리)”라며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리는 것이 줄 세우기와 계파주의 등 구태 정치의 악순환을 끝낼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의 빅딜 제안에 대해선 “결국 국민공천제는 국민 정치이기 때문에 어떤 것과도 타협·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 흥정의 대상으로 삼을 수 없다”며 거부 의사를 재차 밝혔다.

또한 “다시는 우리 사회에 부당한 권력이 개입해서 공천권을 행사해 당이 분열되거나 뿌리가 흔들리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국민공천제를 반드시 실현시키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야당에서 요구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여러 방안 중 하나로 놓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우리 정치 상황에 맞는지 논의해야 한다”며 “여야는 조속히 정개특위를 재개해서 정치 선진화를 위한 건설적인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