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7년 숨진 고 황유미 씨의 아버지와 뇌종양으로 투병중인 한혜경 씨의 어머니 김시녀 씨 등 반올림 내에서 협상을 진행했던 유가족들 일부까지도 조정위의 권고안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8일 황상기 씨와 김시녀 씨 등 반올림 내 유족 대표 두 명은 지난달 23일 조정위원회가 제시한 삼성 직업병 피해 보상 권고안에 대해 거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황상기 씨는 삼성반도체에서 일하다 지난 2007년 숨진 고 황유미 씨의 아버지이고 김시녀 씨는 현재 뇌종양으로 투병하고 있는 한혜경 씨의 어머니다.
이들은 반올림에 입장글을 게재하고 조정위의 권고안이 피해자들의 마음을 충분히 담지 못해 의미가 없다고 비판했다.
여기에 이들은 “삼성이 협상안을 마련해 피해자와 직접 대화에 임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사실상 조정위를 통한 반올림-삼성-가족위의 삼자 협상 구도 자체에 대해 불만이 있는 것으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다.
그간 삼성 측과 가족위 측은 조정위의 권고안에 불만을 일제히 드러낸 바 있지만 반올림 내의 유족 대표마저 불만을 드러낸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는 평가다. 반올림 측은 삼성이 1천억원을 출연해 공익 법인을 설립하는 조정위의 권고안에 대해 비교적 만족스럽다는 평가를 내려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올림 구성원인 유족 대표 2명이 권고안 자체를 반대했다는 점은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올 전망이다. 가뜩이나 두 곳의 교섭 주체가 반대를 하고 나선 상황에서 반올림 내부에서까지 반대 목소리가 나온다는 점은 앞으로 문제 해결이 미궁으로 빠져들 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이라는 평가다.
특히 8년여 간 투쟁을 계속해 온 반올림 측은 지난해 이미 지지부진한 협상과 반올림의 투쟁 방향 등에 대한 이견으로 이미 가족들 일부가 빠져나가는 상황을 겪은 바 있다. 이들은 가족위를 별도로 구성해 지금까지의 협상에 임해 왔다.
한편 조정위는 3주체의 의견을 모아 지난달 23일 “삼성전자가 1000억 원의 기금을 조성해 공익법인을 통해 보상하라”는 권고안을 내놨다. 이 권고안에는 14년의 보장 기간, 공익 재단의 이사회 구성 방식 등도 담겼다.
삼성 측은 난색을 표하며 1천억원으로 사내에 재단을 설립해 보상하겠다고 밝혔고 가족위 측은 빠른 보상을 위해 공익법인의 설립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