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 등 10대 그룹 절반, 부진의 늪
삼성·현대차 등 10대 그룹 절반, 부진의 늪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히 삼성그룹 부진 두드러져
▲ 국내 10대 상장사들의 올 상반기 실적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그룹 부진이 두드러졌다. 사진 / 홍금표 기자
국내 10대 상장사들이 올 상반기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삼성그룹이 두드러지게 하락세를 보였다.
 
18일 재벌닷컴에 의하면 올 상반기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10대 그룹 상장사의 순익 합계는 18조2000억원으로 작년에 비해 20.2% 감소했다. 이번 조사 10대 그룹에서 금융회사는 제외됐다.
 
매출액 합산 또한 312조7000억원을 보이며 작년 동기 대비 8.3%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도 작년 동기 23조6000억원 보다 11.8% 감소한 20조8000억원을 나타냈다.
 
삼성그룹은 영업이익이 5조4000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52.8% 급감했다. 순이익도 같은 기간 10조5천억원에서 5조1천억원으로 51.0% 감소했다. 매출액은 103조8천억원에서 92조9천억원으로 10.5% 하락했다.
 
다른 그룹들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우선 순이익을 보면 삼성을 비롯해 현대차, 포스코, GS현대중공업, 한진 등 6개 그룹이 각각 17%, 2.9%, 19.4%, 53.4%, 48.8% 작년보다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은 삼성과 현대중공업(-62.1%), 한화(-12.8%)가 작년 상반기보다 줄어들었고, 현대차(4.9%), SK(16.3%), LG(40.2%), 롯데(45.7%), 포스코(11.2%), GS(13.3%), 한진(흑자전환) 등 7개 그룹은 증가했다.
 
영업이익이 나아진 그룹도 매출은 감소한 곳이 많아 이른바 ‘불황형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삼성전자는 2011년 초 16%대에서 2013년 6월 23.8%까지 올라가며 26.3%인 애플을 바짝 추격한 바 있지만 이후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4년 전 수준으로 돌아왔다.
 
현대자동차 역시 자기자본 순이익률이 2011년 12월 21.3%까지 상승했다가 지난달 말 기준 10.9%로 떨어지면서 도요타 13.9%, 폴크스바겐 11.7%보다 뒤처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수익성이 해외 경쟁사들에 떨어져 국내 증시에서 대형주와 코스피의 부진이 시작됐고,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한편 SK(25.9%), LG(49.8%), 롯데(44.3%), 한화(25.1%) 등 4개 그룹은 작년 상반기 대비 순이익이 상승했다. 일본기업 논란이 있었던 롯데는 영업 이익이 급증한 모습을 보였다. [시사포커스 / 남태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