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종 “野 청년고용의무화 제안, 협상 가능성 있어”
홍문종 “野 청년고용의무화 제안, 협상 가능성 있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금피크제, 잡 쉐어링이며 정규직 늘려…오픈프라이머리, 야당 불참으로 못해”
▲ 친박계로 분류되는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18일 임금피크제를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매년 5% 이상 청년고용 의무화하자는 제안과 협상해 같이 추진할 생각이 있느냔 질의에 “충분히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친박계로 분류되는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18일 임금피크제를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매년 5% 이상 청년고용 의무화하자는 제안과 협상해 같이 추진할 생각이 있느냔 질의에 “충분히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홍문종 의원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정의당의 청년고용 의무화 주장이) 맞는 이야기이긴 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홍 의원은 “지금 대한민국 고용시장을 대한민국 안에서만 해결한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며 “(청년고용) 의무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고 기업들이 세계적 경쟁력 갖고 계속 청년취업 시킬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했을 때 의무고용 부과로 기업에 가하는 부담이 걱정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노동개혁의 핵심으로 꼽고 있는 임금피크제에 대해선 “부모와 자식이 동시에 같이 일할 수 있는 제도이다. 비정규직 일자리를 늘리는 게 아니라 정규직을 늘리는 것”이라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아버지 월급 깎아서 아들에게 비정규직 일자리 준다는 주장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그는 “(임금피크제를 하면 청년 일자리가)당연히 늘어난다”며 “그런 노동개혁 없이 청년들에게 일자리 열어줄 수 있는 무슨 좋은 방법있으면 야당에게 내놓으라고 이야기 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날선 반응을 보였다.
 
이어 홍 의원은 대학을 비롯해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에 대해서는 “어디나 예외가 있을 수 없다”며 “상위 10%가 전체 수익률의 45%를 가져가고, 나머지 90%가 나머지를 나눠 갖는 양극화 구조가 점점 깊어져 가고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임금피크제가 필요하다고 야당에서도 내놓는다”라고 역설했다.
 
또 그는 임금피크제에 따라 몇 살부터 월급이 깎이는 것인지 대해선 “국회에서 통과시킬 때 정확하게 삽입하지 않아 몇 살이라고 정확한 합의가 이뤄지진 않았다”면서도 “(내년부터) 정년이 60세로 늘어나며 더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다”고 하며 임금보다 직업 안정성을 강조했다.
 
한편 홍 의원은 총선 관련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선 “야당이 동의할 생각이 전혀 없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당내 많은 분들도 거기에 동의한다”며 “오픈 프라이머리 하려면 지금 이미 지구당위원장 다 내놨어야 하고 구체적인 시스템도 마련돼야 하는데 조금 늦은 감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