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잡 쉐어링이며 정규직 늘려…오픈프라이머리, 야당 불참으로 못해”

홍문종 의원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정의당의 청년고용 의무화 주장이) 맞는 이야기이긴 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홍 의원은 “지금 대한민국 고용시장을 대한민국 안에서만 해결한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며 “(청년고용) 의무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고 기업들이 세계적 경쟁력 갖고 계속 청년취업 시킬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고 했을 때 의무고용 부과로 기업에 가하는 부담이 걱정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노동개혁의 핵심으로 꼽고 있는 임금피크제에 대해선 “부모와 자식이 동시에 같이 일할 수 있는 제도이다. 비정규직 일자리를 늘리는 게 아니라 정규직을 늘리는 것”이라며 일각에서 제기하는 아버지 월급 깎아서 아들에게 비정규직 일자리 준다는 주장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그는 “(임금피크제를 하면 청년 일자리가)당연히 늘어난다”며 “그런 노동개혁 없이 청년들에게 일자리 열어줄 수 있는 무슨 좋은 방법있으면 야당에게 내놓으라고 이야기 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날선 반응을 보였다.
이어 홍 의원은 대학을 비롯해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에 대해서는 “어디나 예외가 있을 수 없다”며 “상위 10%가 전체 수익률의 45%를 가져가고, 나머지 90%가 나머지를 나눠 갖는 양극화 구조가 점점 깊어져 가고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임금피크제가 필요하다고 야당에서도 내놓는다”라고 역설했다.
또 그는 임금피크제에 따라 몇 살부터 월급이 깎이는 것인지 대해선 “국회에서 통과시킬 때 정확하게 삽입하지 않아 몇 살이라고 정확한 합의가 이뤄지진 않았다”면서도 “(내년부터) 정년이 60세로 늘어나며 더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다”고 하며 임금보다 직업 안정성을 강조했다.
한편 홍 의원은 총선 관련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선 “야당이 동의할 생각이 전혀 없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당내 많은 분들도 거기에 동의한다”며 “오픈 프라이머리 하려면 지금 이미 지구당위원장 다 내놨어야 하고 구체적인 시스템도 마련돼야 하는데 조금 늦은 감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