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가 지지하는 걸 제가 왜 포기하느냐”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것은 우리 정치개혁의 결정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또 일부 언론이 ‘자신이 친한 의원들에게 100% 오픈프라이머리가 아닌 15% 가량은 전략공천으로 가는 걸로 말했다’고 보도한 것과 관련해선 “완전히 오보”라면서 “저는 그 누구와도 이런 대화를 한 일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오픈프라이머리를 자꾸 흔들려는 세력들이 말을 만들어내는 모양”이라고도 했다.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가 국민의 염원이기 때문에 국민공천제로 이름을 바꾸기로 했고, 이것은 수 차례 의원총회를 거쳐 당론으로 확정된 바 있다”면서 “그런데 이건 법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여야 합의가 필요하다. 그 합의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국민의 70%가 (오픈프라이머리를) 지지하는 걸 제가 왜 포기하느냐”라면서 “자꾸 기자들이 그런 질문을 하는데 앞으론 그런 질문 하지 말아달라”고도 했다.
여야 합의 시한과 관련해선 “시기는 지금 확정하지 않겠다”며 “여야 합의가 안 될 때는 그 때가서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 실패 시 상향식 공천 대안을 제시하라’는 친박계의 요구에 대해선 “여야 합의가 안 될 땐 그때 가서 대책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