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폐지·민영화 추진? 그런 일 절대 발생하면 안돼”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정 후보자를 두고 의료민영화, 영리화를 추진하기 위한 인사라는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우리나라에는 좋은 국민건강보험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의료 민영화는 지금 현재 필요한 정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나는 의료 영리화 자체를 반대하는 사람”이라고 답했다.
‘의료영리화 전도사가 정 후보자의 수식어 아니냐’는 질문에는 “의료민영화, 영리화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아직 추진해야 할 일이 아니다”면서 “오히려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높이고 이런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더 발전시키는 게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어 “의료 영리화는 외국 사례를 보면 태국은 의료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국익 차원에서 했고 유럽은 필요 차원에서 했다”면서 “우리나라는 의료체계가 워낙 발달해있고 수준이 높아서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건강보험 폐지와 민영화 추진 가능성에 대해선 “그런 일은 절대 발생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 후보자는 자신의 주요 의혹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정 후보자는 지난 2007년 학회지에 기고한 논문이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심려를 끼친 데 대해 송구스럽다”면서도 “표절은 아니다. 지도학생의 이름이 행정적 착오에 의해 학회지 학술지에 게재할 때 누락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 후보자는 “연구를 진행하던 중에 (당시) 제자 중 석사학위 논문이 필요한 사람이 있어서 그 제자를 연구팀에 합류시켰고, 같이 연구를 진행해 그 결과를 갖고 석사학위 논문을 제출하고 학위를 받았다”며 “저는 그 이후에 논문을 정리 보완해서 학술지에 제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원장 재직 시절 병원의 건강보험료 부당청구 액수가 3억원을 넘었다는 주장에 대해선 “재직 중에 이런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고개를 숙이면서 “이 사건 후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보완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론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당시 일부 소속 의사들이 제약업계에서 리베이트를 받아 물의를 일으킨 것에 대해선 “그 이후 교수들과의 모임에서 절대 이런 일이 발생하면 안 된다는 것을 누차 강조했고, 우리 교수들도 다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병원장 재직 당시 출장비로 배우자와 함께 출장을 다녀왔다는 의혹에 대해선 “부인의 경비는 개인적으로 지불했고, 부인이 나와 많이 같이 다니진 않았다”고 했다. 다만 “오해를 살 충분한 소지가 있었다”며 “앞으론 처신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법인카드 사적유용 의혹과 관련해선 “대부분 공무로 썼다고 생각하는데 자료제출을 보니 일부 잘못 쓴 부분이 있었다”며 “부주의로 잘못 쓴 게 있었다. 이 점에 철저하지 못했던 것에 다시 한 번 송구스럽다”고 공식 사과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