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학 “한명숙 유죄판결 존중·임금피크제 발언 사과”
이동학 “한명숙 유죄판결 존중·임금피크제 발언 사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려깊지 못한 발언 비판 겸허히 수용…저의 부족 탓”
▲ 새정치민주연합 이동학 혁신위원은 26일 자신의 ‘한명숙 전 총리의 대법원 유죄확정 판결은 존중돼야 한다’는 발언과 임금피크제 관련 발언에 사과했다. ⓒ뉴시스
새정치민주연합 이동학 혁신위원은 26일 자신의 ‘한명숙 전 총리의 대법원 유죄확정 판결은 존중돼야 한다’는 발언과 임금피크제 관련 발언에 사과했다.
 
이 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한 전 총리와 관련한 조선일보 보도에 사과드린다”며 “우리 당이 국민의 보편적 눈높이에 보폭을 맞춰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고 그런 차원에서 대법원 판결을 인정하지 않는 취지의 대응은 무리가 있다는 원론적 답변이었다”고 전했다.
 
이 위원은 이어 “사려깊지 못한 발언이란 지적과 시기적으로도 민감한 문제가 있었다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한다”고도 했다.
 
이 위원은 또 “혁신위원 직함과 역할 이전 저 또한 당원”이라면서 “저 역시 여당과 야당 정치인에게 주어지는 검찰 잣대가 너무나도 다른 지금의 정치검찰 문제는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은 “결과적으로 제 발언으로 마음 아팠을 당원과 총리님을 사랑하는 분들, 한 전 총리에게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또한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노동시장 개혁 핵심인 임금피크제 수용을 촉구하는 편지글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이 위원은 “다소 정제되지 않은 표현에 대해 사과한다”고 했다.
 
이 위원은 “의도와 상관없이 말 한 마디가 제가 지키고 싶은 가치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점을 느꼈다”면서 “사실 그간 제 말의 무게가 얼마만큼 무거운지 크게 인식하지 못했다. 저의 부족 탓”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덧붙여 “선배세대와의 교감도, 자문을 구하고 토론하는 일이 익숙지 않다는 것도 새삼 깨달았다”며 “새 시대를 여는 것이 선배세대의 지혜도 필요한 것인데 더 묻고 더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이 위원은 지난 21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한명숙 전 총리의 대법원 유죄 확정 판결 관련해 야당이 ‘정치탄압’이라고 반발하고 있는 것과 관련 “바람직하지 않다"며 “법원 판결은 존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17일에는 문재인 대표에게 보내는 공개편지 형식의 글을 통해 “우리 당이 당장 노조 설득에 나서야 한다”며 임금피크제 수용을 촉구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