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대디, 가정에도 충실하고 싶어
워킹대디, 가정에도 충실하고 싶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장남성 배우자 출산휴가 48.3%, 육아휴직 15%
▲ 한국의 직장남성들의 육아 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등의 사용 비율이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맞벌이가 늘어나는 등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해지면서 남성들의 육아·가사 참여가 절실해지고 있는 가운데 육아휴직·배우자 출산휴가 등을 사용하는 직장인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5월28일부터 6월10일까지 만 8살 이하의 자녀를 둔 서울의 30∼40대 남성 1000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한 사람은 48.3%로 절반에 못미쳤다.
 
배우자 휴가일수를 사용한 남성은 평균 6.1일을 사용했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현재 최대 5일(유급 3일)이다.
 
육아휴직은 더 열악해 15.3%만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육아휴직기간은 60.8%가 1∼3개월 미만이었다고 답했다.
 
한편 직장남성들은 가정에 충실하지 못하는 이유로 '노동시간이 길고 업무량이 많기 때문'(48.5%)을 1위로 꼽았다.
 
이어 제도가 있어도 직장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분위기(24.5%), 직장 내 지원제도 부족(10%), 육아휴직시 소득 감소(8.3%) 등이 이어졌다.
 
직장남성들은 일과 가족의 양립을 위해 노동시간을 줄이는 것에 대해서는 92.5%가 찬성했다.
 
이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잔업과 야근 등을 줄었으면(37.9%), 직장 상사와 관리자의 인식이 개선(26.5%), 유연근무제 활성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20.9%)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시사포커스 / 구신모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