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경영난에 편법으로 비정규직 늘려

7일 심재철 새누리당 의원 국회예산정책실에 분석의뢰해 발표한 ‘공공기관 비정규직 처우개선 현황’에 따르면 국내 공공기관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4만4020명으로 정규직 근로자 26만9201명 대비 16.4%를 차지했다. 이중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가장 높은 기관은 코레일테크로 비정규 근로자수가 2000%를 넘었고 마사회가 810.5%, 아시아문화개발원이 524.3%를 각각 나타냈다.
비정규직 숫자로는 마사회가 가장 많았다. 마사회의 비정규직은 6658명, 과학기술원이 1704명, 토지주택공사가 1437명, 국립공원관리공단이 988명, 코레일테크가 911명, 국민연금공단이 814명, 서울대병원이 764명, 코레일네트워크가 741명 순이었다.
심 의원은 “정부가 지난 2011년 11월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2년간 1만929명의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했지만 전환 제외자가 71.6%나 됐다”며 “비정규직 숫자가 크게 줄지 않았다는데 있다”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이는 정부가 2012년 1월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추진지침’에서 기간제 사용기간 예외사유에 해당하거나 업무량 감소가 예상되는 경우 계속해서 기간제로 운영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심 의원은 연구 자료를 인용해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비정규직 전환대책은 엄밀히 말해 비정규직의 정규직전환이 아니라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이라며 “고용안정성은 정규직과 유사한 측면이 있으나 처우나 급여, 승진가능성은 정규직과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 시사포커스 / 이신영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