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약매입 비중 3년째 70%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이채익 의원이 13일 롯데‧현대‧신세계 등 유통업체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근거하면 납품업체가 매출과 재고 부담을 져야하는 ‘특약매입’ 비중이 지난해 72.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약매입이란 백화점이 입점업체의 상품을 외상으로 받은 뒤 팔린 만큼만 수수료를 떼고 후불로 결제해주는 형태를 말한다. 거래 과정에서 입점 업체가 제품관리비 등 각종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가 많고, 최종적으로는 재고 부담까지 떠안아야 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012년부터 백화점의 동반성장지수를 평가할 때 특약매입이 아닌 중소기업과의 직매입 비중을 늘리는 업체에 가산점을 매겨 평가하고 있다. 직매입은 백화점이 물건을 협력업체에서 사서 소비자에게 파는 방식을 말한다.
그럼에도 2012년 이후 특약매입 비중은 3년째 70%에 머물고 있고, 직매입 비중 역시 한 자리 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업체별로 보면 롯데백화점의 직매입 비중은 2012년 4.7%→2014년 2.8%로 점점 줄고 있는 추세고, 현대백화점 또한 2012년 7.1%→2014년 6.2%로 감소했다. 단, 신세계백화점만 2012년 6.7%→2014년 7.3%로 소폭 증가했다.
이 의원은 “대형 유통사는 매출이 부진하면 입점 업체를 교체하고 이익이 적으면 수수료를 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좋은 상품을 직매입으로 조달하는 해외 사례를 연구해 유통구조를 바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의원은 롯데와 신세계 아웃렛의 경우 직매입 비중은 0%수준인데 비해 임배 비중이 94%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돼 사실상 임대업체로 분류해도 무방할 정도라고 지적했다. 특히 신세계아웃렛의 경우 100% 임대를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