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개특위에서 여야 논의…합의 안 되면 단독 추진”

홍문표 의원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80% 가까운 국민들이 국민공천제를 지지하고 있고, 대통령 후보들이 다 공약을 과거에 했던 것이고, 야당도 전혀 안 하겠단 말은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홍 의원은 오픈프라이머리 관련 여야 합의가 무산될 경우에 대해선 “안 됐을 때는 저희들이 단독이라도 할 수 있는 의지를 가지고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내년 총선까지 시간이 없지 않느냔 질의에 대해 “이미 물밑에서 진행된 여야간 상황들이 많이 있는데 그걸 현실로 꺼내 본격 논의하면 시간이 그렇게 없는 건 아니다”라며 “어떻게 각 당에서 정확한 매뉴얼을 놓고 내부공천할 것이냐? 이것이 지금 나름대로 각 당에서 소리 없이 준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귀띔했다.
이어 홍 의원은 내부공천이란 전략공천을 뜻하냐는 질문을 받자 “아니다. 한 지구당 10명의 후보가 있다면 후보는 하나를 뽑아야 할 것 아닌가. 그 과정의 내부공천이다”라며 “거기서 뽑은 사람을 오픈프라이머리로 본선에 내보내는데, 그것(지역별 후보 선발)이 내부적으로 촘촘한 매뉴얼을 정하는 게 지금 각 당의 현실 문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 다음에 더 큰 문제는 국민경선 통합기구를 만들면 선거관리위원회가 만약 그분들에게 위탁을 드린다면 투개표 사무 문제하고 두 가지만 여야가 협상해주시면 이번 오픈프라이머리는 할 수 있다”고 단언했다.
또 홍 의원은 윤상현 의원이 대선 후보를 거론한 것과 관련해선 “당이 커가는 모습의 일면으로 본다”며 “당이 더 큰 정당으로 국민에게 많은 지지를 받기 위해선 여러 후보가 나와 경선해서 거기서 뽑히는 후보가 진짜 후보가 되기 때문에 나쁠 게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청원 의원이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 언급했던 걸 두고도 “새정치민주연합의 안이 하나로 일괄되지 않는데 (여야 합의를 위해) 이걸 우리가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고 만약 이게 시간 끈다면 김 대표가 이런 상황을 감안해 빨리 파악하고 결정해달라는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홍 의원은 “정치는 여야가 함께 해나가야 하기 때문에 인내를 가지고 가동되고 있는 정개특위를 과거보다 신속하게 운영할 것”이라며 “시간이 없는 것을 빨리 진행해서, 하다가 안 되면 단독으로라도 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씀드린다”고 전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