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저히 안 되겠다고 판단될 때 공식기구 만들어 플랜B 모색”

김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여의도연구원이 주최한 ‘한국 정당정치 선진화’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여야가 합의해 정치권 모두가 공천권을 국민에 돌려주는 것을 법제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데 제1야당의 반대로 이게 안 된다”며 “우리 당만이라도 이 같은 제도를 확립하는 것이 정치 개혁의 본질이다. 그 일을 위해 계속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새정치연합이 공천 혁신안을 채택하고 당내 친박계에서 대안 제시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 오픈 프라이머리를 계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또 ‘오픈 프라이머리’를 수용하지 않은 새정치연합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야당은 확실한 입장을 국민을 향해 내놓지 않고 혁신안을 중앙위에서 통과시키면서 당 대표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매우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토론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일단은 오픈 프라이머리를 추진하지만 불가능할 경우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서청원 최고위원이 공천 관련 의총을 열어 논의하자고 요구했다는 질문에 “마지막으로 야당과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문제를) 협상해보고, 도저히 안 되겠다고 판단될 때에는 당에 공식기구를 만들어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봐야 한다”고 답했다.
다만 이 같은 ‘플랜B’ 마련을 위한 여야 협상 종료 시한, 정책의총 개최 수용 여부에 대해선 답하지 않았다.
앞서, 서청원 최고위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새정치연합이 순수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기 어렵게 된 만큼 새누리당도 새롭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정감사 뒤에 의원총회를 열어 국민정신, 시대정시에 맞는 제3의 공천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편, 김 대표는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 농어촌 지역 의원들이 주장하고 있는 ‘농어촌특별선거구 신설’과 관련해선 “(한 의원이) 농촌의 5∼6개 군을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그에 맞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