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노·사·정 대타협 정신 존중해 노동개혁 후속조치 이행 협조해달라”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번 개혁이 우리 후손들을 위해서 부모 세대가 마무리해야 할 최소한의 의무라는 점을 인식하고 노사 고통분담의 결단으로 이뤄진 17년 만의 대타협이 큰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모두 뜻을 모아 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강대국이었던 많은 나라들이 한순간에 추락하는 모습을 역사를 통해서 배워왔다”며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위기를 위기로 느끼지 못하고 개혁의 때를 놓쳐 버렸다는 것인데 우리는 결코 그런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지난 수요일에 여당 소속의원 159명 전원이 서명한 노동개혁 5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됐는데 이 법안들이 국회를 통과해야만 노사정 합의도 완성이 된다”면서 “노동개혁이 하루라도 빨리 실천될 수 있도록 수석실과 내각은 전력을 다하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또한 “국민이 지지하는 노동개혁이 돼야 하기 때문에 입법추진 과정에서 대타협의 정신과 취지를 존중하고 노사와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청취하면서 합의사항을 하나하나 매듭지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국회도 노사정이 정말 어렵게 합의를 이룬 만큼 대타협의 정신을 존중해서 후속조치 이행에 적극 협조해 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오는 25일부터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UN)총회에 참석하는 것과 관련해선 “한반도 평화통일과 동북아 문제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의 이해를 높이고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심도깊은 논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유엔총회 및 유엔 개발정상회의 참석 등을 위해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미국 뉴욕을 방문한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번 유엔 개발 정상회의는 앞으로 15년간 국제사회의 개발목표인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를 채택하는 역사적 회의가 될 것”이라고 전하며 “저는 이번 유엔총회 참석을 통해서 개발협력 비롯해 기후변화, 보건안보, 유엔 평화활동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적극적인 기여의지를 보여주면서 우리나라의 위상과 국익을 더욱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가 유엔 총회 참석하는 기간이 추석 연휴 기간이기 때문에 각 수석께서는 추석 귀성객과 국민 안전에 만전을 기하는데 많이 신경을 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청년희망펀드와 관련, 각계각층에서 기부에 동참한 것에 대해 사의를 표했다.
박 대통령은 “기부금은 공익신탁 성격인 청년희망펀드에 기부할 예정이고 앞으로 청년희망재단이 설립되면 청년일자리 지원 사업 등에 사용될 예정”이라면서 “청년일자리 창출이 단순히 돈을 지원하는 것을 벗어나 청년기술교육과 자격증 취득, 해외파견 근무 등 다양한 범위에서 논의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논의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