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농어촌 의원들 “지방 7개권역 특별선거구 설치하라”
與野 농어촌 의원들 “지방 7개권역 특별선거구 설치하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거구획정위 지역구 의석수 조정 결정 강력 반발
▲ 여야의 농어촌 지방의원들이 2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총선 지역구 수를 현행 246개와 유사한 수준인 244∼249개 범위 내에서 조정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사진은 국회 본회의장 모습. 사진 / 시사포커스DB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년 총선 지역구 수를 현행 246개와 유사한 수준인 244∼249개 범위 내에서 조정하기로 결정하면서 농어촌 지역구가 최대 9석이 줄 것으로 예상되자 여야의 농어촌 지방의원들이 “지방 7개 권역에 특별선거구를 설치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황영철·장윤석·권성동·김기선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이윤석 의원 등 여야 농어촌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획정위는 국회의원 지역구 수를 244석에서 249석 범위 안에서 조정하기로 한 결정을 철회하라”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 각각 1석 이상의 특별선거구를 채택하여 선거구를 획정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존 지역구 의석수를 유지하겠다는 획정위는 농어촌, 지방 국민들의 요구를 외면한 채, 농어촌 지방을 통합해서 대도시의 지역구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선거구를 획정하겠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여야 지도부는 농어촌 지방의 지역 대표성을 보호하기 위해 지역구 의석수를 확대하고 비례대표 정수를 축소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라”면서 “우리 농어촌 지방 국회의원들은 농어촌 지방을 외면한 모든 선거구 획정 논의에 반대하며, 우리의 뜻이 관철될 때까지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앞서 획정위의 결정이 유지될 경우 농어촌 지역의 의석수는 최소 6석에서 최대 9석이 줄게 된다. 현행 246석 유지 방안에 헌법재판소가 결정한 인구 편차 ‘2대1’ 기준을 적용할 경우 수도권에서 9곳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농어촌 지역의 의석수는 그만큼 줄어든다는 것이다.
 
또한 선관위가 내놓은 지역구 수 최대치 249석으로 계산을 해보더라도 농어촌 지역의 의석수는 6석이 통폐합해야 된다.
 
이처럼 농어촌 지역의 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역구 의석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구획정위의 방안에 대해 “비현실적”이라면서 “지역구를 늘리고 비례대표 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