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놓고 찬반 논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법 개정 없이 교육부총리 행정명령으로 시행 가능하며, 국정화로 결정되면 내후년부터 도입할 수 있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서울·경기·인천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들 수도권 세 곳의 교육감은 지난 8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시류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희연 교육감은 "우리는 세계에서 유례 없이 산업화에 이어 민주화에 성공한 나라인데 민주화의 한 단계 높은 단계는 다원화”라며 “경제·정치적으로도 다원성이 이뤄져야 하고 또 국정교과서는 사회적 다원화의 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재정 교육감도 “토인비는 역사를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했고, E.H 카도 해석이 중요하다고 하는 등 역사는 진실에 접근하려는 목적이 있다”면서 “국정화는 이러한 역사 교육방향에 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청연 교육감은 일본과 한국의 과거 국정교과서 채택 시기에 대한 질문에 각각 "파시즘 시기가 아닐까", "제3공화국 시절이 아니었을까"라고 답하며 소리내어 웃었다.
반면에 박대출 새누리당 의원은 국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박 의원은 “역사적 공과를 일방적으로 편향적으로 기술하면 안 되고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육감의 책무”라고 전하며,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내세웠다.
이들 세 교육감은 앞서 지난 8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내면서, 반대 의견과 대립 논란이 커지고 있다. [시사포커스 / 이지훈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