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은행, ‘대통령 제안 펀드’ 가입강요 논란
KEB하나은행, ‘대통령 제안 펀드’ 가입강요 논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제안한 청년희망펀드, 직원들에 가입 독촉 의혹
▲ KEB하나금융이 내부 직원들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하고 1호로 가입한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상품에 가입할 것을 지시했다는 의혹에 휘말렸다. 사진 / 김종백 기자
KEB하나금융이 내부 직원들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하고 1호로 가입한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상품에 가입할 것을 지시했다는 의혹에 휘말려 진땀을 흘리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초 통합을 마무리지은 KEB하나은행은 지난 21일 오후 전 임직원에게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독려하는 단체 메일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었다. 일부 영업점에서는 1인당 1좌(1만원 이상) 가입 원칙을 세우는가 하면 가족 명의까지 동원해 가입토록 했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청년희망펀드 상품은 정부가 청년일자리 해결을 위해 내놓은 공익신탁 상품이다. 지난 21일 KEB하나은행을 필두로 22일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등 주요 시중 은행들이 개시했다. 모인 금액은 민간 중심인 청년희망재단을 통해 청년 구직자나 비정규직 1년 이상 취업중인 청년 등 구체적으로 청년의 취업 기회 확대라는 목적에 쓰인다.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청년희망펀드를 제안한 지 1주일 만에 출시됐으며, 박근혜 대통령이 KEB하나은행을 통해 2000만원을 기부하면서 당일 제1호로 가입했고 임종룡 금융위원장 등 각계 인사들도 동참하는 분위기다. KEB하나은행이 개시한 첫 날 8631명이 동참해 1억5741만원이 모였다.
 
문제는 이 상품이 순수 기부 목적의 상품이라는 점이다. 청년희망펀드에 가입하면 금액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납부를 할 수 있지만, 원금은 물론 운용수익도 전액 기부된다. 사실상 ‘기부를 강제한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 적지 않은 직원들은 가족 명의까지 동원해 반강제적으로 청년희망펀드에 가입하게 된 것에 대해 불만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 직원은 지점장이 직원 1인당 두 개씩 가입하고 진행상황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는 증언을 내놓기도 했다. 일부 세제 혜택이 있기는 하지만 강제로 기부하라는 것이나 다름 없다는 볼멘 소리가 빗발쳤다. 다른 직원은 과거에 가입을 강요하던 상품들은 그래도 돈을 돌려받을 기회가 있었는데 이번엔 달라 불만이라고 답했다.
 
KEB하나은행은 강요가 아니고 독려 차원이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따가운 눈총은 여전하다. KEB하나은행은 “좋은 취지를 살리기 위해 직원들부터 먼저 참여해 통합은행의 이미지를 제고하자는 의미로 안내 메일을 발생한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또한 다음 날인 지난 22일 “일부 직원들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추가로 메일을 보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안내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하지만 논란은 사그라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3일 새정치민주연합이 하나금융의 정권 눈치보기를 힐난하면서 논란은 정치권으로 확산될 기미까지 보인다. 더욱이 KEB하나은행 뿐 아니라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도 알아서 가입하자는 식의 불편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오는 실정이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