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등 상호금융조합, 재무건전성 ‘빨간불’
신협 등 상호금융조합, 재무건전성 ‘빨간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6월 기준 169곳 적기시정조치 받아
▲ 신협과 수협 등 상호금융사 조합 중 경영 부실화로 금융당국으로부터 시정초지를 받은 곳이 169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신협과 수협 등 상호금융사 조합 중 경영 부실화로 금융당국으로부터 시정초지를 받은 곳이 169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상호금융조합 관리·감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총 169개 상호금융조합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았다.

적기시정조치란 금융사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 비율 등 경영상태를 단계 등급으로 분류해 일정 등급 밑으로 떨어질 경우 금융당국이 단계적 시정조치를 내리는 제도다. BIS 비율이 8% 밑이면 경영개선권고를, 6% 밑이면 경영개선 요구를, 2% 밑으로 떨어지면 경영개선명령 조치가 들어간다.

전국에 신협 920개, 농협 1154개, 수협 90개, 산림조합 136개, 새마을금고 1372개 등 상호금융사 단위조합이 총 3672개인 점을 감안할 때 부실화 상황에 처한 조합이 이 중 4.6%라는 계산이 나온다.

업권별로 보면 신협 단위조합 135곳이 적기시정조치를 가장 많이 받았다. 수협은 20곳, 산림조합은 8곳, 농협은 6곳이다.

민 의원은 “해마다 상방수의 상호금융사의 부실화로 지역 상호금융사를 이용하는 서민들이 피해를 입는다”며 “기관 자체의 내부통제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