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 고용세습·연봉잔치 질타 ‘곤욕’
수협중앙회, 고용세습·연봉잔치 질타 ‘곤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현직 임직원 자녀 채용 꾸준…억대 연봉자도 급증
▲ 수협이 매년 지적받았던 임직원 자녀 고용 특혜 의혹이 올해도 어김없이 제기된 가운데 억대 연봉 비율이 급증했다는 질타까지 이어지면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수협이 매년 지적받았던 임직원 자녀 고용 특혜 의혹이 올해도 어김없이 제기된 가운데 억대 연봉 비율이 급증했다는 질타까지 이어지면서 곤욕을 치르고 있다.
 
13일 국회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수협중앙회와 지역조합에 취업한 전·현직 임직원 자녀가 총 41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수협중앙회가 9명, 지역조합이 32명을 채용했다.
 
수협중앙회가 뽑은 9명 중 퇴직한 역대 통신국장들의 자녀 3명은 모두 통신직 4급으로 채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직 차장 자녀 1명과 수협중앙회 자녀 2명은 사무직 3급에 채용됐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은 이를 두고 부모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역조합이 뽑은 32명 중 23명은 채용공고 없이 서류심사 후 면접 평가만으로 선발됐다. 또한 26명이 정규직으로 이 중 17명은 계약직으로 채용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또한 수협중앙회는 비정규직 평균 연봉이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데도 억대 연봉을 받는 임직원은 5년간 급증해 눈총을 받고 있다.
 
수협중앙회의 억대 연봉자는 2010년 10명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148명으로 크게 늘어 전체 임직원 2368명의 6.3%로 급증했다. 인건비 비중 역시 지난해 6.1%에서 올해 9.0%로 늘었다. 이에 2001년 수협은행 부실에 따라 투입된 공적자금이 1조1581억원이나 되는데 고위 임직원들이 연봉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까지 공적자금 상환은 한 푼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반면 지난해 수협중앙회 비정규직 494명의 평균 연봉은 3183만원으로 정규직의 6630만원의 절반에 불과했다. 비슷한 업무를 수행하는 산림조합중앙회의 비정규직 연봉이 정규직의 70%에 수렴하는 점이나 농협이 억대 연봉자를 감축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더구나 비정규직 인원이 차지하는 비율도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으면서도 전환율은 5%대에 그쳐 수협중앙회가 비정규직 채용을 늘려 인건비를 절감하고 고위직 임원의 연봉 잔치를 보전해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수협 측은 9000여명에 달하는 총 직원 수에 비해 41명은 그 규모가 그리 크지 않고 억대 연봉자 급증에 대해서도 과거 3년간 임원들의 임금을 동결시켰다가 금융노조 기준에 맞춰 임금을 인상한 것 때문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