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수능 영어 “절대평가제 도입”
2018년도 수능 영어 “절대평가제 도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 과도한 수능 경쟁 줄이기 위한 방안
▲ 교육부는 2018년도 수능 영어를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꿔 과도한 경쟁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교육부는 1일 영어 절대평가의 세부적 도입 방안을 포함한 '2018학년도 수능 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2018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부터 영어과목이 절대평가로 바뀌어 성적이 9개 등급으로만 구분된다. 즉 90점 이상이면 모두가 1등급이 된다.
 
절대평가로 바뀌면서, 수험생들의 과도한 경쟁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현행 상대평가에서는 성적표에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제공되지만, 절대평가를 도입하면 등급만 표기된다.
 
영어 만점은 현재와 같이 100점이고 등급간 점수 차이는 10점으로 설정됐다.
 
원점수를 가지고 90점 이상이면 1등급, 80∼89점은 2등급, 70∼79점은 3등급, 60∼69점은 4등급으로 나뉜다.
 
현행처럼 문항 수는 45개이고 1개 문항당 배점은 2점이나 3점이 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영어 절대평가 방식이 학생들의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했다.
 
교육부는 "절대평가 도입으로 학생들은 다른 응시자와 무관하게 본인의 원점수에 따라 정해진 등급만 부여받는다"며 "점수 1∼2점을 더 받기 위한 불필요한 경쟁은 크게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사포커스 / 이지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