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출신 장관 5명 출마 보도에 ‘조기개각설’ 진화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각과 관련해서는 들은 바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보다 앞선 이날 오전 또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내년 총선 출마를 희망하고 있어 이와 관련해 조기 개각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에 대해 적극 부인한 바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쉽사리 진화되지 않자 재차 해명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박근혜정부에서 장관직을 겸하고 있는 현역 의원은 총 5명으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과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이 해당되는데 이날 청와대가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장관들의 총선출마가 사실상 유력한 만큼 이로 인한 개각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한다고 할 수 있다.
일례로 김희정 장관이 지난 7월 기자들과의 만찬에서 “내년 총선에 출마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데 이어 최 부총리까지 5월초 해외출장길에서 “나는 본래 정치인이고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라며 출마를 암시한 바 있다.
이외에도 현역 의원은 아니지만 경북 경주 출신인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 경북 경산 태생의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영남권에 출마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런 전망으로 인해 조기개각설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는데 만일 개각이 이뤄지더라도 대규모 인사조치가 단행되기 보단 축차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는 각 부처마다 하반기 중요 일정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인데 대규모 개각이 있을 경우 후임자 인선과 청문절차로 인해 박대통령이 연내 확실한 성과내기를 목표로 하고 있는 4대개혁에 자칫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현행법에 따르면 공직자는 선거일 90일 전까지 사퇴해야 출마 가능한데 출마를 원하는 장관들은 적어도 내년 1월14일까진 장관직을 사퇴해야 한다.
이미 출마를 시사한 최 부총리는 12월 정부 예산안 처리와 더불어 경제정책 컨트롤타워로서 노동, 금융 등 박 대통령의 개혁과제를 뒷받침해야 하는 중책을 맡고 있어 당장 여의도로 복귀할 수 있을진 미지수지만 황 부총리의 경우 교육부 최대 현안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여부가 다음주쯤 결론날 예정이어서 이를 끝맺는 대로 국회에 복귀할 것이라 관측되고 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