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법서, "한화케미칼 폭발사고" 재판 열려
울산지법서, "한화케미칼 폭발사고" 재판 열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화케미칼 공장 관리자 "폭발가능성 예견 못 해"
▲ 울산지법에서 협력업체 근로자 6명이 사망한 한화케미칼 폭발사고와 관련하여, 재판이 진행됐다. ⓒ뉴시스

한화케미칼 폭발사고의 책임을 두고 법정 공방이 이어졌다.
 
7일 울산지법에서 업무상과실치사상과 산업안전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한화케미칼 울산 공장장 A(50) 씨 등 9명에 대한 2차 재판이 열렸다.

사고 당시 PVC(폴리염화비닐) 제조 과정에서 배출된 폐수에서 VAM(아세트산비닐) 등의 인화성 가스가 생성돼 집수조 안에 축적됐고 용접불꽃을 만나 폭발해 그 위에서 용접작업을 하던 협력업체 근로자 6명이 숨지고 인근에 있던 경비원 1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검찰은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한화케미칼 공장장 등 4명을 구속 기소하고, 숨진 근로자들이 소속된 현대환경산업 대표 등 9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법정에서 한화측은 "폐수집수조의 폭발가능성을 예견하지 못했다"며 "통상적으로  PVC(폴리염화비닐)이 폭발하는 경우는 이례적이라 관리책임자들에게 과도한 책임을 묻을 수 없다"고 전했다.

또한, A씨 등 한화측 피고인들은 "안전관리책임자로서의 주의의무 위반과 업무상과실치사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항변했다.
 
이어 한화측은 과학적인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증인으로 출석할 수 있도록 재판부에 요청했다.
 
법원은 전문가 증인의 출석 일정을 고려해 다음 기일을 10월 28일과 11월 4일 복수로 지정했다. [시사포커스 / 이지훈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