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역사교과서 중세이전-근현대 균형 필요”
황교안 “역사교과서 중세이전-근현대 균형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헌재 ‘부정적 판단’ 견해 묻자 구체적 답변 피해
▲ 황교안 국무총리는 14일 정부의 단일 역사교과서 추진 논란과 관련, “(역사교과서에서) 최근 100여년 당시의 기록이 굉장히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 균형을 좀 맞춰야 한다는 걱정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사포커스DB
황교안 국무총리는 14일 정부의 단일 역사교과서 추진 논란과 관련, “(역사교과서에서) 최근 100여년 당시의 기록이 굉장히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 균형을 좀 맞춰야 한다는 걱정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총리는 이날 외교·통일·안보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최근 역사 교과서 수록 내용 중 근현대사 비중이 부쩍 늘었다는 새누리당 경대수 의원의 질의에 대해 “중세 이전, 고대나 이전의 역사에 대해선 논란이 없는데 근현대사에 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답변했다.

또한 “앞으로 교과서를 새로 만드는 과정에서 그런 부분도 균형을 갖추도록 하는 게 좋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황 총리는 새로 만들 역사 교과서에서 현대사 비중을 10% 이하로 대폭 줄이고 논란이 있는 내용을 빼자는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의 제안에 있어서는 “체제보다 내용이 중요하다. 내용을 바로잡는 게 어떻게 가능할까하는 연구 끝에 체제를 개편하는 게 필요하겠다고 생각했다”고 대답했다.

또 황 총리는 새정치연합 권은희 의원이 과거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힌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대한 견해를 질문하자 “거듭 말하지만 많은 논란 있는 부분”이라며 구체적인 답변은 하지 않았다.

이어 권 의원이 5·16 군사쿠데타에 대한 견해를 밝히라고 요구하자 “헌재 결정(5·16은 쿠데타, 군사정변)을 존중한다. 그것으로 말을 대신하겠다”고 역시 대답을 회피했다.

황 총리는 북한의 핵배낭 보유 여부에 대한 하태경 의원의 질의에는 “기술적으로는 안 갖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북한 스스로 사용할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많아 그에 대해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소련 해체 시 분실된 핵배낭이 북한에 흘러들러갔을 가능성 제기에 관련해서는 “일부 전문가가 그런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사실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시사포커스 / 박하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