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신문들과 인터뷰…“日 정부, 우리 국민 납득할 수 있는 해결 방안 제시가 중요”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에 앞서 진행한 일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등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가장 관심이 모아지는 대목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다. 박 대통령은 이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한일 양국의 문제를 넘어서 보편적 여성 인권의 문제”라며 “금년에만 위안부 할머니 8분이 돌아가셔서 이제 47분만 살아계시는데, 금년 내 이 문제가 타결돼 이분들의 상처가 치유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기존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가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조속히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번 기회에 일본 정부가 그에 맞는 치유와 해결 방안을 제시해주길 바란다”고 일본을 향해 전향적인 자세의 전환을 요구했다.
박 대통령은 한일 관계에 대해선 “올해 양국이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은 만큼 올바른 역사 인식의 바탕 위에 과거사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출발하는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번 3국 정상회의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안정적 관계 발전에 소중한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희망했다.
또한 양국 기업의 제3국 공동 진출이나 청년 인력 교류 활성화 등을 언급하면서 “양국의 유사성과 상호 보완성을 잘 활용해 나가면 협력의 시너지도 더욱 크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를 위해선 일본의 제대로된 역사 직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일본 정부가 미래지향적인 인식을 가지고 동북아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그 시작은 ‘역사 직시, 미래 지향’의 정신으로 동북아 3국 간 상호 신뢰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협력 메커니즘을 흔들림 없이 발전시켜 동북아에 새로운 평화와 협력의 질서를 구현해나가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의 안보법안과 관련해선 “일본의 군사적 역할 확대에 대해 주변국들의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일본의 방위안보 정책은 평화헌법의 정신을 기초로 미일 동맹의 틀 안에서 역내 국가 간 선린우호 관계와 평화,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투명하게 이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과 중국의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선 “남중국해 지역은 우리 수출 물동량의 30%와 수입 에너지의 90%가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인 만큼, 우리로서도 대단히 중요한 지역”이라며 “해당 지역에서의 항행과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하고, 분쟁은 국제적으로 확립된 규범과 관련 합의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며 기존의 정부 방침을 재차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