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국회 내 반드시 처리토록…내년 예산안, 11월 말까지 통과시킬 것”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총리 공관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 회의를 마친 뒤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시정연설 후속 조치 등을 적극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며 회의 결과를 전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어 “당‧정‧청은 경제 활력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법, 관광진흥법, 국제의료지원법, 의료법 등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 5개 법안 처리가 매우 시급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며 “정기국회에서 반드시 처리되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제보건의료사업지원법과 관련, “여야가 사실상 합의한 내용으로 지난 청와대 5자 회동에서도 문재인 대표가 이 법 관련 이견이 없다고 했다”며 “그런 만큼 야당도 조속히 처리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원 원내대표는 “동 법안들은 고용절벽 앞에 선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법안”이라며 “야당도 책임감을 갖고 청년들을 위해 법안심의 및 처리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촉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한‧중FTA 비준에 대해선 “조기 발효를 위해 노력키로 했다”며 “보완대책 마련을 위해 가동키로 한 여야정 협의체가 더 이상 지연돼서는 안 된다는 데 공감하고 야당의 적극 동참을 촉구키로 했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는데 야당의 동참 여부가 불투명해 협의체 가동을 현재로선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그는 내년 예산에 대해서는 “정부는 국회의 예산 심의에 협력키로 했고 당은 지연되고 있는 상임위 심사 조속 완료와 함께 11월 말까지 예결위에서 내년도 예산안이 반드시 통과되도록 노력키로 했다”고 입장을 내놨다.
이밖에 가뭄에 대해선 “우선 내년 봄 용수 확보 등 기존 대책 예산을 적시적소에 집행하고 내년 예산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키로 했다”며 “또 수시로 당정협의를 열어 대응상황을 공유하고 기존 추진사항 등을 점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논란이 되고 있는 이날 국정교과서 확정 고시 발표에 대해선 “회의 안건은 없었으나 당정 중심으로 잠시 논의했다”며 “앞으로 국사편찬위원회가 정치적 상황에 휘둘리지 않고 제대로 된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독립성을 보장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정치권 불간섭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 원내대표는 “교과서를 정치교과서로 만들 수 없다. 총선에 정략적인 이용은 안 되고 어떠한 세력도 올바른 교과서 편찬에 부당하게 관여해서는 안 된다”며 “피켓으로 경제를 살릴 수 없고 농성으로 일자리를 만들 수 없다. 야당은 하루 빨리 장외에서 들어와 국회 본회의장에 앉아 달라”고 호소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