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살리기 위한 국회 정상화는 아무런 조건이 없어”

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가뭄극복 민생현안대책회의에서 “민생을 살리기 위한 국회 정상화에는 아무 조건이 없다. 무조건이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또 극심한 가을 가뭄에 대해 “정부는 기후 변화에 따른 가뭄·홍수에 대비하고자 4대강을 정비했고 16개 보와 저수지, 댐에 11.7억t의 물이 담긴 상황”이라면서 “그러나 이것이 정쟁에 연결돼 (사업이) 예산 삭감으로 중단된 결과 11.7억t은 그대로 그림의 떡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민생의 눈이 아닌 정쟁의 눈으로 4대강을 바라본 결과였다”며 “만시지탄이지만 야당 소속 의원 상당수가 지방 하천 정비 예산을 증액 신청했다고 하니 참 다행스럽다”고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이제 4대강은 정쟁의 도구가 아닌 국토의 젖줄이자 소중한 자원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관리할지 고민해야 한다”며 “야당도 정쟁에서 벗어나 가뭄으로 고통받는 국민을 위한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여야는 6일에도 역사교과서 국정화로 인해 마비된 국회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협상을 진행한다. 새정치연합은 전날(5일) 의원총회, 전국시도당·지역위원장 연석회의를 잇따라 열고 다음 주 초 국회에 복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민생문제를 외면할 경우의 후폭풍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