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은 12일 선거구 획정을 위한 여야 간 협상이 최종 결렬된 깨진 데 대해 ‘청와대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4+4 회동’ 결렬 뒤 국회를 떠나는 도중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 개입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지금까지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온 경우에는 청와대 발 아이디어가 많았던 것 같다”며 “지금까진 그런 추측을 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이날 선거구획정을 논의하던 도중 선거구 의제와 무관한 국회선진화법 개정안을 빅딜 대상으로 새누리당이 제의한 것은 당 차원에서만 이뤄진 게 아닐 거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새정치연합은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새누리당 이병석 의원이 전날 제시한 ‘균형의석’ 제도를 담은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수용의사까지 밝혔지만 새누리당에서는 이를 수용하는 전제조건으로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요구하면서 협상이 결렬된 것이라며 책임을 여당에 돌렸다.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선진화법이 오늘 처음 나왔으면 몰라도 사실은 지난 8일 이뤄진 3+3 회동 때 새누리당이 공식적으로 국회선진화법 개혁 특위 구성을 저희에게 요청해서 협상이 결렬된 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원내수석은 “그 싸움과의 연장선상에서 보면 (새누리당에서) ‘국회선진화법의 무력화를 어떤 형태로든 해야 하겠다’는 논의가 이전부터 이뤄졌다고 판단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개특위 야당 간사인 김태년 의원은 “우리가 비례대표를 7석이나 줄이겠다고 했고, 대신 우리도 명분이 필요하니까 연동형 비례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자고 했다”며 “그런데 새누리당에서 이마저도 못 받겠다고 하고, 느닷없이 선진화법 이야기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 같은 야당의 주장에 대해 새누리당은 조금 다른 주장을 폈는데 김무성 대표가 야당의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주장과 여당의 국회선진화법 개정을 교환하잔 ‘빅딜’을 제안한 뒤 당 최고위원들과 이를 논의했으나 최고위원들이 이를 수용하지 않아 제안을 철회했다고 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새정치연합 이 원내대표에게 전화를 해서 국회선진화법 결부 문제는 우리 당의 동의를 못 얻었으니 (선거구획정과) 결부를 안 하는 것이 좋겠다고 (미리) 통보했다”며 “이제 다른 논의를 해보자고 하니 (새정치연합이 협상장을) 나가버렸다”고 전했다.
같은 당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역시 “그 문제(선진화법)에 대한 얘기는 각 당의 최고위를 거쳐서 한번 논의해보자고 나왔는데, 우리당 최고위에서 할 수 없다고 결론이 났기 때문에 아무런 의미 없는 내용이다”라고 설명했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