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부담 줘선 안 된단 유족 의견 존중…장례위원회 2,222명 구성키로

이번 국가장 집행 업무를 맡은 행정자치부는 장례위원회 간사인 김혜영 의정관이 이날 오후 3시30분경 김 전 대통령 유족 측과 만나 국민에 부담을 줘선 안 된다는 유족 측 입장을 수렴해 이같이 정했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서거일인 지난 22일부터 오는 26일까지 5일장으로 치러지는 YS 장례식은 과거 김대중·김영삼 ‘양김’이 이끈 민주화추진협의회 출신 인사들이 주도하고 있는데 26일 열릴 발인식은 오후 2시 국회의사당 본관 앞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장례위원회는 장례위원장인 황교안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총 2,222명 규모로 구성됐으며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장례위원회 고문에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포함돼 있다는 사실이다.
발인식에 이은 영결식은 국민의례, 묵념, 고인 약력보고, 조사 및 추도사 낭독, 종교의식, 생전 영상 상영, 헌화와 분향, 추모 공연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조사는 관례상 장례위원장인 황 총리가 낭독하게 되고 추도사는 상도동계 핵심 인사인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종교의식은 국가장이란 성격상 특정 종교에 편향되지 않고 기독교와 천주교, 불교, 원불교 등 4대 종파가 모두 참여키로 했으며 종교의식 순서만 생전 고인의 종교였던 기독교를 우선하기로 결정했다.
뒤이은 헌화 분향은 상주와 직계 유족, 현직 대통령, 전직 대통령, 장례위원장, 5부 요인 순으로 참여하며 추모공연은 유족 측과 상세 내용을 협의한 후 확정할 예정이다.
한편 영결식 후 운구차 행렬은 안장식이 거행되는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가기 전 상도동 사저와 서울광장을 들를 것으로 전해졌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