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도 완화, 비례성 강화되면 비례대표 수 조정 검토 가능”

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은) 아무런 대안도 없이 오직 19대처럼 42% 정당득표로 과반의석을 차지하겠다는 욕심과 집착을 보여줬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의화 국회의장 중재로 새누리당 소속인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중재안으로 의견이 모아지는 듯 했는데 새누리당이 어제 빈손으로 와서 중재안을 걷어찼다”며 “여야가 의견접근을 했다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것이 몇 번째인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른바 ‘이병석 중재안’은 지역구 의석수를 현행 246석보다 14석 늘린 260석으로 하되 40석의 비례의석은 정당득표율에 비례해 지역구 의석수가 정당득표율 최소 과반 의석에 못 미치는 정당부터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는 ‘균형 의석제’를 기초로 하고 있는데, ‘표의 등가성’과 ‘사표 방지’, ‘농어촌 지역대표성 확보’ 등을 고려해 내놓은 방안이다.
문 대표는 “우리 당의 입장은 지역구도 완화, 비례성 강화 방안이 강구되면 그 전제 위에서 농어촌 지역구를 지키기 위한 비례대표 수 조정을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새누리당의 전향적 태도와 결단을 촉구한다”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6일 여야 간 선거구 획정 협상 결렬 직후에도 새정치연합은 김영록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우리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사실상 철회하고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는 양보의 길을 열어줬다”며 “이런 야당의 양보안조차 거부하는 새누리당의 협상 태도는 유감”이라고 여당의 협상 태도를 비난한 바 있다.
한편 이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오전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 선거구 획정 협상 경과와 관련해 “시간이 남지 않아 새로운 선거제도를 도입하는 건 불가능해 비례대표 수를 소폭 줄일 수밖에 없단 결론으로 빨리 합의해서 15일 예비 후보 등록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뜻을 같이 했다”는 반응을 내놨다.[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