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보호대책 추진과 더불어 3월까지 운영 계획

그리고 서대문구에 15명 규모로 운영하고 있는 여성노숙인 전용 응급보호 시설 역시, 이달부터 최대 35명까지 보호할 수 있는 규모로 확대한다.
현재 시는 총 42개 노숙인 시설과 서울역·영등포역 인근의 응급대피소, 무료 급식소등을 활용한 응급구호방, 고시원과 쪽방 등을 활용한 응급쪽방 100개 등을 연계해 ‘응급잠자리’를 상시 운영 중에 있다.
그리고 35개조 88명의 겨울철 거리노숙인 특별상담반을 편성해 서울시 주요 지역을 매일 2~4회 거리순찰·상담활동도 나설 예정이다.
상담반은 거리에서 지내는 노숙인들에게 시설입소와 응급잠자리를 안내하는 한편, 건강이 좋지 않은 노숙인의 경우 병원 치료를 받게 한다. 또한 치료를 거부하는 노숙인을 대상으로는 노숙지역을 지속 방문해 현장진료도 시행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노숙인 위기대응콜센터는 겨울철 대책기간 동안 비상체제로 전환해 운영되고 있다”면서 “도움이 필요한 노숙인이나 위기 노숙인을 발견한 시민이라면 누구나 24시간 노숙인 위기대응콜로 신고하면 된다”고 전했다.
한편 서울시는 이번 겨울 노숙인이 겨울을 따뜻하게 나도록 돕기 위해 기업, 민간단체, 종교단체를 통해 기부 받은 겨울옷 4만5000여 점을 서울역 우리옷방, 응급구호방 시설 등을 통해 노숙인에게 지급한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시설이용을 거부하고 거리생활을 고집하는 노숙인에게는 침낭, 매트 등 방한용품을 전달한다. [시사포커스 / 박태영 기자]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