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시장, 스톡옵션 행사 주의보?
코스닥 시장, 스톡옵션 행사 주의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미공개정보 활용 의심 사례로 투자자들 피해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코스닥 상장 기업들이 스톡옵션을 부여한 건수는 총 161건으로 2014년 131건에 비해 30건(18.6%)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 / 시사포커스DB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건수가 늘면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임직원들의 스톡옵션 행사 전후 시점을 유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코스닥 상장 기업들이 스톡옵션을 부여한 건수는 총 161건으로 2014년 131건에 비해 30건(18.6%)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식매수선택권으로 알려진 스톡옵션은 임직원에 자사의 주식을 액면가나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주식을 처분해 시세 차익을 거둘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제도다. 특히 주로 벤처기업에서 우수 인재 영입 등에 활용되고 기업이 성공할 경우 임직원들이 받는 보상을 극대화할 수 있어 사기 진작 차원으로도 이용된다.
 
이에 벤처기업이 몰려 있는 코스닥 시장에서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는 더 이상 낯선 광경이 아니다. 지난해 스톡옵션 부여 건수가 20% 가까이 증가한 것은 물론 행사 건수 역시 2014년 45건에서 48건으로 증가했다.
 
정부 역시 스톡옵션 제도의 활성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기재부·미래부 등 유관부처는 지난해 벤처 활성화 대책으로 행사가격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이 담긴 스톡옵션 규제 완화 방안을 내놨다. 박근혜 대통령도 벤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톡옵션 규제 완화 방침을 내놨다.
 
하지만 비교적 등락폭이 큰 코스닥 시장에서 임직원들이 미공개된 정보를 활용해 스톡옵션 제도를 활용, 차익을 실현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되는 사례가 적지 않아 투자자들의 주의가 당부된다.
 
지난해 백수오 파동을 일으킨 내츄럴엔도텍의 직원들은 가짜 백수오의 진위 여부를 가리는 와중에 스톡옵션을 대거 행사해 물의를 빚었다. 지난해 4월 내츄럴엔도텍 직원 몇 명은 한국소비자원이 제기한 가처분신청에 대한 발표가 나기 전 행사 가격이 500~1000원대인 스톡옵션을 행사해 논란이 인 바 있다. 스톡옵션 행사 공시 당일 내츄럴엔도텍 종가는 9만원이 넘었고 가짜 백수오 파동 이후 내츄럴엔도텍 주가는 폭락했다.
 
지난해 말 코스닥 상장 제약업체 알테오젠은 보건복지부 한 간부가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물의를 빚었다. 보건복지부 A과장의 부인은 알테오젠의 이사로 재직하면서 6만8545주의 주식을 스톡옵션 형태로 보유하고 있었다. A과장은 2014년 12월 개방형 공모로 보건복지부에 과장으로 채용됐으며 지난해 2월 보건복지부산하 기관이 알테오젠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주가가 크게 오르자 1억원 가량의 매매차익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이 과정에서 A과장이 양해각서 체결에 관여한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A과장은 양해각서 체결 과정에 관여한 적도 없고 알지도 못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에서 탈락한 인터파크 임원들 역시 최근 스톡옵션 행사의 시점이 절묘해 구설수에 올랐다. 김동업 대표는 지난 11월 19일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고 주당 2만2000원대이던 인터파크 주식 5000주를 주당 4800원에 사들여 기존 보유분 1만5000주와 함께 총 2만주를 2만3000원에 팔았다. 5000주에 대한 시세차익만 1억원에 가깝다. 강동화 부사장과 김양선 전무 역시 같은 가격으로 각각 1만여 주에 대해 스톡옵션을 행사해 절반 가량을 2만4000원대에 팔고 1억원 안팎의 시세 차익을 올렸다.
 
스톡옵션 행사 자체를 왈가왈부하기는 어렵겠지만 문제는 당시가 인터넷전문은행 선정전 결과가 나오기 직전이었다는 부분이다. 인터파크 주가는 인터넷전문은행 선정전이 진행되면서 10% 이상 올랐다가 선정전에서 탈락한 후 10% 가량 하락했다. 이에 대표이사를 포함한 주요 임원들이 탈락 사실을 미리 예측하고 시세차익을 챙겨 소액주주들에게 피해를 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인터파크 측은 해당 임원들이 인터넷전문은행 사업과 관련이 없었다며 이 같은 의혹을 일축했지만 미공개정보를 활용해 시세차익을 거둔 것 아니냐는 시선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11일 현재 인터파크 주가는 2만1200원이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