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책임소지 피한 채 비난만 하는 행위는 공약파기”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일명 ‘권력자’ 발언에 대해 이같이 말하면서 “2012년 선진화법을 총대선 공약으로 주도한 박 대통령이 자신의 책임소지는 피한 채 비난만 하는 행위야 말로 누리과정, 경제민주화 공약 못지않은 심한 공약파기”라고 지적했다.
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난 26일 국회선진화법과 관련, “왜 그러한 망국법인 국회선진화법이 국회에서 통과됐느냐에 대해 말하지 않을 수 없다”며 “(입법 당시인) 그때도 우리 당내 거의 많은 의원들이 반대를 했는데, 당시 권력자가 찬성으로 돌자 반대하던 의원들이 모두 다 찬성으로 돌아버렸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또 “그래서 통과된 게 바로 국회선진화법”이라면서 “이런(권력자를 따라가는) 잘못을 종료시키려고 공천권에 발목이 잡힌 국회의원에게 정치적 철학과 소신을 굽히지 말라는 뜻에서 100% 상향식 공천을 내가 지금 온갖 모욕과 수모를 견뎌가면서 완성했다”고도 했다. 김 대표가 언급한 ‘권력자’는 당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던 박근혜 대통령을 지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그는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메이드 인 박근혜’를 지우기 위해 당시 모든 친박 의원들이 찬성한 것이 아니라고 말한 것은 자기 얼굴에 침 뱉기”라고 지적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친박 의원이 당시 총선 패배를 예상하고 국회선진화법을 추진했다가 선거 결과가 좋게 나오자 입장을 바꾸는 것은 안면몰수”라며 “선진화법에 대한 친박 의원들의 이중성은 민주주의 철학의 부정임을 증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새누리당 지도부는 국회의장이 중재목적으로 발의한 개정안에 대해 서명하지 말도록 지시했던 것이 드러났다”면서 “이는 어찌 보면 정치적 패륜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새누리당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헌법 제1조를 지키려면 정치적 순교를 각오해야 하는 당이 됐다”며 “유승민 의원에 이어 정의화를 헌법 제1조 순교자로 만들려 했던 시도가 아니겠느냐”고 비꼬았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