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희망퇴직 제도 재가동 ‘설왕설래’
유한양행, 희망퇴직 제도 재가동 ‘설왕설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조조정 일환” vs “강제성 없고 직원 지원 차원”
▲ 유한양행이 3년여 만에 희망퇴직 제도를 다시 가동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유한양행
국내 제약업계 매출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유한양행이 3년여 만에 희망퇴직 제도를 다시 가동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11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과장급 이상 전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오는 2월까지 한시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접수받고 있다. 신청자는 심사를 통과할 경우 36개월치의 급여를 받게 된다.
 
특히 한국얀센이나 한국화이자 등 주로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제약사들이 소위 ERP(Early voluntary Retirement Program)라고 불리기도 했던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사용한 전례가 있는 만큼, 실적 호조를 이어가고 있는 유한양행의 이번 조치의 배경에 적지 않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유한양행은 2014년 국내 제약사 중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고 지난해 3분기까지도 2014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의 신장률을 나타냈다. 특히 지난해 3분기 기록한 매출 3100억원은 업계 사상 처음으로 단일 분기 매출 3000억원을 돌파한 수준이다.
 
이처럼 실적 흐름이 나쁘지 않은 상황에서 유한양행이 굳이 다시 희망퇴직을 받기로 한 것을 두고 인사적체가 심한 것으로 알려진 유한양행이 정년 연장으로 인해 벌이는 구조조정의 일환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업계 1위인 유한양행의 희망퇴직 접수가 다른 국내 제약사들에게까지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유한양행 측은 이 같은 추측이 지나치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이날 <시사포커스>와의 통화에서 “회사의 의지와는 다른 식으로 알려져 상당히 곤혹스럽고 억울한 부분이 있다”는 심경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번에 희망퇴직을 한시적으로 다시 받고 있는 것은 절대 구조조정이나 인력 감축의 일환이 아니고 조직의 역동성을 제고하고 직원들에게 새 기회를 열어주는 차원”이라면서 “강제적인 부분도 전혀 없고 자발적으로 신청하는 분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직원들의 경우 퇴직 후 미래 설계에 대한 계획이 있더라도 쉽게 관두기 힘든 부분이 있어 원래 1990년대부터 2013년까지 상시적인 소규모 희망퇴직 제도를 운영해 왔다”면서 “하지만 상시적으로 운영되다보니 신청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해서 2014년부터 잠시 중단 아닌 중단을 했다가 이번에 다시 실시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회사에 기여한 직원들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희망퇴직 접수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제도가 중단 아닌 중단을 겪었지만 역시 퇴직금만으로는 미래를 준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로감을 느끼는 직원들에게 한시적으로 혜택을 드리고자 하는 목적”이라고 강조하고 “회사가 오래된 부분이 있다 보니 대표님이 갖고 계신 의지 중 하나인 역동성 측면에서 고려된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따라서 희망퇴직 접수 목표 자체가 없기 때문에 강제성도 없고 이후 구조조정 등의 다른 계획도 없다”면서 “당연히 추가로 다시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도 전혀 없는 상황인데 외국계 회사들이 구조조정에서 활용한 전례가 있다보니 거기에 준해서 생각하는 것 같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까지의 신청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 수치는 확인이 필요하지만 국내 토종 제약사들 중에서 유한양행의 임금 수준이나 복리 후생이 이미 최상위권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신청자가 많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