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 전략공천설이 나돌았던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출마를 결국 고사했다.
21일 오후 한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당 최고위에서 추천한 용산출마설은 고마운 일이다” 며 “하지만 나를 지지해준 서초주민에게는 예의가 아니다” 고 말했다. 이로써 조 전수석에 대한 용산 전략공천은 없었던 일이 되었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새누리당 최고위원회 전원 의견은 조 전 수석을 어떻게든 살리자는 의견이었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먼저 조 전수석에 대한 전략공천 천거를 공관위에 전했고, 김태호 최고위원은 “갈 수 있으면 용산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오후 들어 상황이 변했다.
공천관리위원인 박종희 제2사무부총장이 “조 전 수석이 '서초의 딸'이라고 했는데 용산에 가는 게 안 맞다고 생각된다” 며 “용산으로 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여기에 이한구 공천관리 위원장이“최고위는 전략공천 등을 부여할 그런 자격이 없다” 고 잘라 말했다. 결국 조 전 수석이 원내 진입하는 방법은 비례대표밖에 없으며, 본인 의지만 있으면 그것이 힘을 받는 추세다.
비례 대표 공모는 현재 추가 공모에 들어간 상태다. 조 전수석의 지원만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여권 관계자는 “조 전 수석은 여론조사 경선에서 소수점 이하로 석패했기 때문에 동정론이 만만치 않다” 며 “비례대표를 가는 것은 그녀 의지만 있으면 무조건 되는 상황이다” 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도 대전 유성갑 경선에서 패한 최명길 전 MBC 유럽지사장을 서울 송파을에, 전북 익산갑 경선에서 패한 한병도 전 의원을 익산을에 전략공천 한 바 있다.
또 현역의원 20% 컷오프에서 탈락했던 문희상, 백군기를 다시 전략후보로 내세웠기 때문에 조 전 수석이 비례대표를 지원한들 일부 비판을 감수한다면 못할 것이 없게 되었다.
실제로 당 지도부가 공천에서 낙천한 인사를 이렇게 집단적으로 구제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는 경우는 상당히 이례적이다. 그만큼 박근혜 대통령이 그녀의 원내진입을 바라고 있다는 방증이다.
조윤선, 그녀의 선택이 주목된다. [시사포커스 / 윤성필 기자 ]
스마트폰 보급율이 거의 100프로에 달하는
사회 환경은 고려하지 않고
60년대 식으로
의사결정 라인에 계신 분들께서
회람식으로 정하신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삼족오도 일본이 가져가고
김치도 기무치가 되고
인삼도 진셍이 되듯이
삼태극도 일본에게 다시 가져갈 기회를
주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