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좌석당 430원 인상 효과” 지적

3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멀티플렉스 체인 CJ CGV가 새로 도입한 ‘좌석별 가격차등제’에 대해 공정위 조사를 요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CJ CGV는 점유율이 50%에 육박하는 압도적 1위 사업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최근 실제 상영관의 예매 현황을 분석, 관람료가 인하됐음에도 가격이 인상된 프라임존의 예약률이 훨씬 높아 실제로 평균 430원 가량의 가격 인상이 발생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조사 대상은 지난 3~9일 영등포·용산·구로·강동·왕십리 5개 CGV 상영관에서 상영된 영화 귀향과 주토피아가 선정됐다. 물가감시센터는 해당 영화들의 예매현황을 분석한 결과 1천원 인하된 이코노미존은 전체 좌석수 1만9376개 중 불과 870개만 예매돼 예약률이 주중 0.6~1.1%, 주말 5.3~19.5%에 그쳤다고 밝혔다.
반면 가격이 1000원 인상된 프라임존의 예약률은 이코노미존의 예약률보다 최대 10배 이상 높았다. 프라임존은 전체 3만4825개 좌석 중 1만535명이 좌석을 예약, 주중 15.1~22.0%, 주말 45.5~60.3%의 예약률을 나타냈다.
물가감시센터는 이코노미존이 관람에 불편한 앞좌석 2~3줄에 불과한 반면 프라임존은 중앙을 중심으로 범위가 넓어 소비자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가격이 인상된 프라임존을 구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예매 좌석수에서 이코노미존과 프라임존은 약 12배 가량의 차이를 보였다.
물가감시센터 측은 “CGV는 소비자 혜택이 미미한 좌석별 관람료 차등화가 아니라 매점가격 합리화를 포함한 서비스 개선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공정거래위원회에 가격인상에 대한 조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CGV 측은 가격차등화에 대해 “불편한 앞자리 좌석이 가격이 높아 가격을 조정했고 장기적으로 타겟화된 마케팅을 추가적으로 진행하겠다는 목적으로 가격 다양화를 시행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