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리스크·일본 견제 동향·캐나다 반덤핑 예비판정 등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자국 내 모든 송유관 건설프로젝트에 자국 내에서 제조된 장비와 재료를 사용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송유관 건설 공사를 한다면, 그 송유관은 미국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당초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가 인프라 확대를 공약한 바 있어 국내 철강업계는 수출 증가를 기대했으나 현실은 정반대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매년 10만톤 정도 송유관을 미국에 수출해온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전망이다. 송유관 소재를 미국에 공급하는 포스코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정책방향을 비켜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악재는 일본에서도 불어오고 있다. 최근 수출 호조를 보이는 일본에서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견제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지난해 8월부터 한국산 후판의 일본 수입이 급증하면서 현지 철강업체들이 부쩍 경계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강판으로 주로 선박용이나 건설용 철강재로 쓰인다.
특히 일본 최대 철강업체 ‘신일철주금’의 오이타제철소에서 지난달 5일 화재가 발생한 이후 현지에서 후판 수급 불균형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포스코와 동국제강 등은 최근 신일철주금에서 후판 공급을 요청 받고 계약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한국산 철강제품 수입량 증가로 현지 업계의 시선이 곱지 않은 가운데 앞으로 수입단가를 빌미로 제동을 걸 소지가 다분하다고 판단한다.
캐나다는 한국산 철강구조물에 최대 42.8%의 반덤핑 관세 부과 예비판정을 내렸다.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은 지난달 26일 발표한 6개국의 철강구조물 반덤핑 및 상계관세 예비판정 결과에서 한국, 중국, 스페인에 대해 덤핑과 보조금 지급 혐의가 인정된다고 판단했다.
지난해 9월 현지 3개 철강회사는 “한국을 포함한 6개국의 철강제품이 자국에서 팔리는 것보다 낮은 가격에 수입되고 있다”며 제소했다. 캐나다에서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수입한 한국산 산업용 철강구조물은 7억976만 달러 규모로 전년 동기대비 368.2% 증가했다. 이와 같은 수입량 급증이 캐나다의 반덤핑 예비판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
이처럼 국내 철강업계에 드리워진 악재는 수익성 회복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국 정부의 정책 노선과 현지 업계 동향 및 우리 정부의 대응 방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업체마다 제품 특성에 맞게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