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우병우-김진태 동원해 ‘세월호 수사’ 막았나
靑, 우병우-김진태 동원해 ‘세월호 수사’ 막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진태 前 검찰총장, 광주지검장에 ‘수사팀 해체’ 전화” “우병우도 수사팀장에 ‘수사 미뤄라’ 전화”
▲ 세월호 참사 당시 김진태 검찰총장이 변찬우 광주지검장에 세월호 해경 수사팀을 해체하라고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또 우병우 전 민정수석도 수사팀장에게 전화를 걸어 외압을 행사한 의혹을 받고 있다. 사진은 진도 팽목항의 모습. 사진 / 시사포커스 DB
[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 세월호 참사 당시 김진태 검찰총장이 변찬우 광주지검장에 세월호 해경 수사팀을 해체하라고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세월호 참사 이후 6.4 지방선거가 다가오는 상황에서, 청와대 입장에선 당시 해경 수사를 부담스러워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3일 <한겨레>에 따르면,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세월호 수사팀 관계자로부터 “2014년 5월쯤 김진태 전 검찰총장이 해경 수사를 담당하던 변찬우 전 광주지검장에게 전화를 걸어 ‘해경 수사팀을 해체하라’고 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지검은 세월호 참사 이후 윤대진 형사2부장을 팀장으로 한 해경 수사 전담팀을 꾸린 바 있다. 이는 검경 합동수사본부와는 별개인 자체 팀이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에는 해경이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청와대 측에서는 검찰이 해경을 수사하게 될 경우 세월호 참사가 정부 탓이라는 인식이 굳어져 지방선거에 악영향을 끼칠 거라 우려한 분위기였다. 새누리당이 참패할 우려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특검팀은 김 전 총장이 변 지검장에게,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당시 민정수석비서관)이 윤대진 팀장에게 각각 전화를 걸어 수사팀 해체는 물론 지방선거 뒤까지 수사를 미루도록 압력을 행사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정황에 따르면, 청와대가 검찰총장과 청와대 민정수석실을 동원해 일선 검찰을 압박한 셈이다.
 
또한 우병우 전 수석은 지방선거 다음날인 6월 5일 해경 본청 압수수색 때도 직접 수사팀에 전화를 걸어 ‘상황실 서버’ 압수수색 중단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실 서버에는 청와대와 해경이 주고받은 통신 내역 등이 보관돼 있다. 우 전 수석은 지난해 12월 국회 청문회에서 세월호 수사팀 간부급과 통화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수사외압은 부인했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