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공황장애' 겪는 국민 늘고 있다...70대 '심각'
해마다 '공황장애' 겪는 국민 늘고 있다...70대 '심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0대 층 3.4배 증가...노인 자살률 비례
▲ 사진은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자료화면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해마다 공황장애를 겪는 국민들이 늘어가고 있다.

20일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에 따르면 최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공황장애’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최근 5년간 2010년 5만 945명에서 2015년 10만 6,140명으로 연평균 15.8%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10년 2만 6,198명에서 2015년 4만 9,669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3.6% 증가했고, 여성은 2010년 2만 4,747명에서 2015년 5만 6,471명으로 연평균 17.9%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40대가 310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275명, 70대 이상 269명 순이며, 여성은 40대와 60대는 316명으로 가장 많고, 50대 314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부적으로 70대 이상에서 인구 10만 명당 2010년 82명에서 2015년 276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3.4배)으로 나타났다.

노령층 환자 증가폭이 큰 것에 대해 공단은 “현재 노인들은 대개 큰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는 OECD평균의 4배나 되는 국내의 노인 자살률을 봐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현재 노인세대는 부모세대를 부양하며 자라왔지만 경제사회적 환경변화로 자식 세대의 부양을 받기는 어려워지면서 경제적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게 된 세대로 일생을 바쳐 이룬 것을 한순간에 잃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는 현상이 증가에 기여한 것”이로 분석했다.

한편 ‘공황장애’는 어느 하나의 원인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신경생물학적 원인 그리고 유전적, 심리사회적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생물학적 원인으로는 환자들의 뇌기능과 구조의 문제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