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출신 의원들, "김장겸-고대영 즉각 사퇴만이 마지막 예의"
MBC출신 의원들, "김장겸-고대영 즉각 사퇴만이 마지막 예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대 방송사 파업 "경영진의 책임이 무엇보다 크다"
▲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최명길 국민의당 의원을 비롯한 MBC 출신 의원들이 공영방송 정상화를 촉구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박영선, 신경민 의원, 최 의원, 국민의당 정동영 의원, 민주당 노웅래, 김성수 의원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MBC출신 의원 7명이 KBS와 MBC 경영진들의 사퇴를 주장하고 나섰다.

6일 정동영, 신경민, 박광온, 김성수, 노웅래, 최명길 등 MBC출신 의원 7명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방송의 공정성 회복을 위해 MBC와 KBS구성원들이 총파업에 들어갔다”고 전하며 양대 경영진들의 사퇴를 촉구했다.

특히 이들은 “공영방송이 권력 비호 방송이라는 오명을 얻는 것은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임명된 경영진의 잘못이 가장 크다”며 “청와대는 공영방송에 재갈을 물리기 위해 방송법 개정까지 막아가며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들을 차례대로 사장에 앉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 결과는 언론자유와 독립성은 훼손됐고 공영방송은 정권 비호 방송이라는 오명을 안고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고 역설했다.

더불어 이들은 “사태가 이 지경이 된 것은 오직 권력의 의중만 살핀 김장겸, 고대영 사장 등 경영진의 책임이 무엇보다 크다”며 “왜곡보도에 반발하는 직원을 내쫓거나 징계하는 등 악덕 기업주도 하지 못할 악질적인 부당노동행위를 저질러왔다”고 주장했다.

이어 “MBC의 경우 해고 10명 등 경영진의 부당노동행위로 인한 피해자가 200여명에 이른다”고 도 지적했다.

또 이들은 최근 김장겸 사장 체포영장에 따른 자유한국당의 국회 보이콧 움직임에 “언론 적폐를 양산한 KBS•MBC 경영진이 공범자라면 주범은 지난 9년간 집권당이었던 자유한국당”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집권 시절 공영방송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데 앞장섰던 자유한국당이 과연 언론자유를 운운할 자격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며 “‘정권의 방송장악’이라는 억지 주장으로 이른바 보수층을 결집시키고, 바닥을 헤매고 있는 지지율을 회복할 반전의 기회를 잡아보려는 검은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말미에 이들은 “KBS, MBC 경영진에게 경고한다”며 “즉각 사퇴만이 수십 년 동안 몸담은 조직에 대한 마지막 예의를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