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인 신분으로 경찰조사 앞서 "진실을 규명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김 씨는 27일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인 신분으로 출석해 심경을 묻는 질문에 “심경을 이야기를 하기보다는 지금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내용들을 좀 이 기회에 좀 밝혀졌으면 좋겠다”며 “진실을 규명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광석 씨 사망 이후에 가족들이 서연 양을 찾지도 않았고 왕래가 없었다는 서해순 씨의 최근 인터뷰에 대해 “서연이의 소식에 대해서 왜 궁금하지 않았겠습니까?”며 “(서)해순이가 너무 보기 싫어서 멀리 있던 것이지, 서연이가 보기 싫었던 것은 아니다”고 했다.
또 그는 조카의 죽음을 뒤늦게 안 것에 대해 “많이 놀랐고 하나밖에 안 남은 광석이 혈육인데 광석이 흔적이 사라졌다고 생각하니까 좀 마음이 많이 아팠다”고 했다.
이어 “어렸을 때부터 광석이 죽고 나서 미국에 3년 동안 떨어져 있었다”며 “그때 애가 혼자 얼마나 참 외로웠겠고, 그렇게 힘들게 생활을 했고 죽는 과정도 폐렴이라고 하니까 진짜 너무 불쌍했다”고 설명했다.
이외 김 씨는 서 씨의 최근 인터뷰에 대해 “지금 너무 경황이 없어서 생각이 잘 안 나는데 모든 부분들이 의혹투성이”라고 하며 조사실로 향했다.
한편 당초 김광석 측의 유족과 영화 ‘김광석’을 연출한 이상호 감독, ‘김광석법’ 입법 발의를 추진하는 안민석 의원 등은 전날 김광석의 딸 사망과 관련 재수사 고소(고발)장을 제출했다.
특히 이들은 고소에 앞서 기자회견을 통해 “김광석 유족의 동의를 받아서 딸의 마지막 주소지관할인 용인동부경찰서에 실종신고를 시도했으나, 접수진행이 안되는 상황에서 서연양 사망사실을 알게 됐다”며 고소 경의를 설명했다.
이들에 따르면 김광석 딸의 사망 소식을 그 누구도 알지 못했으며, 서 씨 또한 딸이 살아있다고 주위에 말한 사실을 근거로 석연찮은 정황을 주장하고 나선 상황이다.
이에 대해 서 씨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경황이 없어서 말을 하지 못했다”고 해명하면서 “자신에 대해 마녀사냥을 하고 있다”며 “숨진 서연 양의 부검 소견서를 공개하겠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