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강토 둘러싼 말의 전쟁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
이낙연, "강토 둘러싼 말의 전쟁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똑같은 한글을 쓰는 남과 북이 한글날 세종의 뜻 이루길 다짐
▲ 이낙연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1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똑같은 한글을 쓰는 남과 북이 세종 큰 임금의 그러한 뜻을 함께 이루어가기를 한글날에 다짐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9일 이 총리는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1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를 통해 이 같이 밝히며 “요즘 들어 우리 강토를 둘러싼 말의 전쟁이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고 운을 뗐다.

이날 이 총리는 “한글은 너무나 빼어난 글자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냥 글자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한글은 글자를 뛰어넘는 위대한 선물을 우리 겨레에게 안겨주었다”며 “그 덕분에 한국은 문화와 경제와 정치를 이만큼 발전시킬 수 있었다”고 했다.

또 “한국어능력시험을 보는 외국인도 늘었다”며 “외국에 있는 한글교육기관 세종학당에는 우리말과 우리글을 배우려고 찾아오는 사람들이 나날이 불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과거 수많은 피박에도)목숨 걸고 이어주신 우리말과 글을 오늘 우리가 쓰고 있다”며 “어른들의 마음이 헛되지 않게 우리는 우리말과 글을 더 잘 지키고, 더 빛나게 가꾸어 후대에 물려줘야 하며 정부가 먼저 반성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말과 글을 소중히 여기며 제대로 쓰고 있는지 되돌아보겠고 공문서나 연설문을 쉽고 바르게 쓰며, 예의를 갖춘 말과 글로 바로잡아가겠다”며 “우리말과 글을 찾고 지키며 다듬고 널리 알리려는 민간과 공공의 노력을 더욱 돕겠다”고 했다.

또 이 총리는 “세종 큰 임금께서는 후대가 곱고 따뜻한 말과 글을 주고받으며 평화롭고 넉넉하게 살기를 꿈꾸셨을 것”이라며 “똑같은 한글을 쓰는 남과 북이 세종 큰 임금의 그러한 뜻을 함께 이루어가기를 한글날에 다짐하면 좋겠다”고 했다.

말미에 이 총리는 “정부는 북한이 끝내 잘못된 길로 가지 않도록 국제사회와 굳게 힘을 모아 북한을 계속 압박하고 설득할 것”이라며 “아울러 정부는 이 땅에 전쟁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 아무리 어려운 문제가 남과 북 사이에 가로 놓이더라도 그것을 결국은 평화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겠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