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뜻과 요구를 나침반 삼아...더 나아지는 삶'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뜻과 요구를 나침반 삼아...더 나아지는 삶'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들께서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
▲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새해, 정부와 저의 목표는 국민들의 평범한 일상을 지키고, 더 나아지게 만드는 것으로 국민의 뜻과 요구를 나침반으로 삼겠다’ 고 했다.

10일 문재인 대통령은 오전 청와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히며 ‘국민들께서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며 국정운영 구상을 전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제가 대통령이 되어 가장 먼저 한 일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한 것이며 ‘사람중심 경제’라는 국정철학을 실천하기 위해서이며 일자리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개개인의 삶의 기반”이라고 했다.

또 “‘사람중심 경제’의 핵심에 일자리가 있다”며 “정부는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지난해 추경으로 마중물을 붓고, 정부 지원체계를 전면 개편했으며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시작되었고, 8년만의 대타협으로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을 16.4%로 결정했다”고 했다.

특히 “일자리 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기업들도 늘어났으며 노사 간에도 일자리의 상생을 위한 뜻깊은 노력들이 시작돼 정부는 올해 이러한 변화들을 확산시켜 나가겠다”며 “최저임금 인상은 우리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의미있는 결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저임금 노동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가계소득을 높여 소득주도성장의 기반이 될 것이고 상생과 공존을 위해 소상공인과 영세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여주는 지원대책도 차질없이 실행할 것”이라고 했다.

또 “청년 일자리는 이러한 인구구조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앞으로 3~4년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저는 청년 일자리 문제를 국가적인 과제로 삼아, 앞으로도 직접 챙겨 일자리 격차를 해소하고, 일자리의 질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더불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임금격차 해소,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같은 근본적 일자리 개혁을 달성해야 하고 노동시간 단축은 우리의 삶을 삶답게 만들기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며 모든 경제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고 했다.

또 이날 문 대통령은 “우월한 지위를 악용한 갑질 문화 등 생활 속 적폐를 반드시 근절하겠다”며 “모든 국민이 공정한 기회와 경쟁을 보장받고, 억울하지 않도록 해나갈 것이며 재벌 개혁은 경제의 투명성은 물론, 경제성과를 중소기업과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해 엄정한 법 집행으로 일감 몰아주기를 없애겠다”고도 했다.

이어 “총수 일가의 편법적 지배력 확장을 억제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주주의결권을 확대하고,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겠다”고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